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文정부 청와대 이력 넣을까 뺄까’ 경선 앞둔 민주당의 딜레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상최대’ 靑 출신 소개에 ‘文’ 포함 여부에 경선 당락

여론 조사 따르자니 “지역 민심 다져온 후보들은 어쩌나”

공천 파동 재현할라… 고민 빠진 민주당

이데일리

원혜영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공천관리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사상 최대로 점쳐지는 청와대 출신 총선 출마자를 놓고 더불어민주당이 고민에 빠졌다. 4월 총선을 80여일 앞둔 만큼 이제 본격적인 경선 국면에 들어가는데 청와대 출신 인사들의 이력 정리가 난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핵심은 ‘문재인정부 청와대’라는 표현의 허용 여부다. 이에 따라 경선 결과가 요동칠 수 있기 때문에 당내 갈등으로 비화할 소지가 없지 않다.

22일 기준으로 총선에 도전장을 낼 것으로 보이는 청와대 출신은 약 70여 명선에 이른다. 윤영찬 전 국민소통수석, 한병도 전 정무수석, 윤건영 전 국정기획실장을 비롯해 김의겸·고민정 전 대변인 등이다. 10여 명 선에 그쳤던 이명박·박근혜 정부, 30여 명이었던 노무현 정부 때보다도 많다.

총선에 출마하려는 청와대 출신 인사들은 민주당 현역 의원 혹은 원외 지역위원장과 경선을 치러야 한다. 문제는 경선룰이다. 권리당원 50%, 일반국민 50%가 참여하는 국민참여경선에서 승리해야 하는데 청와대 경력만으로도 대통령 지지층의 높은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다.

특히 대통령 지지도가 높은 호남은 청와대 근무 경력 여하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가 20~30%까지 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전북 군산 출마를 선언한 김의겸 전 대변인은 당내 후보 적합도 조사와 총선 가상대결에서 모두 1위를 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데일리와 만나 “‘청와대’ 보다는 ‘문재인 대통령’과의 연관성에 따라 여론조사 결과가 크게 달라진다”며 “청와대 이력을 여론조사에 포함하느냐 하지 않느냐를 놓고 경선 당락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고민은 더 있다. 특정후보의 청와대 이력이 경선에서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나 그것이 야당 후보와 경쟁하는 본선에서도 통할지는 미지수다. 대통령의 열성 지지층만으로 선거를 치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지역에서 기반을 닦아오던 후보들은 ‘청와대 이력’ 포함을 강하게 반대한다. 이를 고려해 대통령 지지세가 높은 호남과 반대여론이 높은 영남 그리고 호각세인 수도권으로 나눠서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호남에 출마를 희망하는 청와대 출신 인사들을 놓고 “대통령 후광에 기대려 한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한 민주당 관계자는 “청와대에서 일했다고 당선가능성이 큰 호남 공천까지 가져가 버리면 그동안 지역기반을 닦아온 이들은 뭐가 되나”라며 “공정함을 위해 당의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민주당 지도부는 ‘청와대 이력’을 둘러싼 갈등이 공천 파동으로 이어질까 부담스러워하는 모양새다. 지난 20대 총선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진박공천’ 같은 데자뷔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 때문에 판단을 최대한 미루면서 양측의 불만을 누그러뜨릴 묘수를 찾는다는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