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상의 "소매유통업 체감경기 2분기 연속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온라인ㆍ홈쇼핑만 호조세…"규제정책 재검토 필요"

이투데이

(출처=대한상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소매유통업 체감경기가 2분기 연속 하락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소매유통업체 1000곳을 대상으로 ‘2020년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4분기보다 3포인트 하락한 88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RBSI가 100을 넘으면 지난 분기보다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며 100 이하면 그 반대다.

RBSI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체적으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소매유통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의 구매력”이라며 “한국경제의 저성장세가 계속되면서 소비부진 흐름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보면 온라인ㆍ홈쇼핑(105)만 유일하게 기준치를 넘어 호조세를 이어갔다. 백화점(93), 대형마트(80), 편의점(75)은 전 분기보다 하락했으며 슈퍼마켓(75)은 지난 분기 수준의 부진을 전망했다.

특히 백화점의 낙폭이 가장 컸다. 백화점 업계의 올해 1분기 전망은 93으로 지난해 4분기 103에서 10포인트 하락했다.

올겨울 상대적으로 따뜻한 날씨와 소비 부진이 겹쳐 패션 상품군이 약세를 보인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대형마트 전망치도 지난 분기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대형마트는 e커머스의 시장점유율 확대,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고전하고 있다. 올해도 e커머스와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편의점 업계는 전 분기 대비 3포인트 떨어진 75로 집계됐다.

지난 분기에 이어 편의점에는 겨울철 비수기라는 계절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야외활동이 줄어드는 겨울철에는 편의점 방문 횟수가 줄고 주류와 음료 판매가 감소해 업계는 비수기로 꼽고 있다.

반면, 온라인ㆍ홈쇼핑은 전 분기와 같은 105를 기록하며 40분기 연속 기준치를 웃돌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쇼핑 누적 거래액은 11월 기준 121조 원을 돌파했다. 2018년 연간기록을 넘어섰다.

온라인 쇼핑 방식 중에서는 모바일 쇼핑 비중이 ’지난해 11월 기준 65.9%로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PC 기반 쇼핑 비중은 34.1%로 전년 동기(37.9%)보다 줄었다.

소매유통업계의 1분기 수익성은 ‘악화할 것’(37.0%)이라는 전망이 ‘호전될 것’(8.9%)이라는 전망보다 4배 이상 많았다.

모든 업종에서 수익성에 ‘변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가장 많았지만, ‘악화’를 예상하는 응답도 ‘호전’보다 높았다.

애로사항으로는 ‘소비심리 위축’(56.7%), ‘비용 상승’(22.7%), ‘업태 간 경쟁 심화’(14.9%), ‘정부 규제’(3.5%), ‘상품가격 상승’(1.1%)을 차례로 꼽았다.

강석구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유통업계의 전반적인 어려움은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는 현 우리 경제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면서 “소비자가 지갑을 열 수 있도록 하려면 경제회복과 아울러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통업계에 대한 규제정책의 조속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투데이/김벼리 기자(kimstar1215@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