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靑 "'남북협력, 한·미 워킹그룹 논의 후 추진해야' 美대사 발언, 매우 부적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남북 협력은 한국 정부가 결정할 사안"
與송영길도 "해리스 대사, 조선 총독이냐"
통일부 대변인은 해리스 대사 발언에 "대북정책은 주권에 해당"

청와대 핵심관계자가 17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남북협력 사업은 한·미 워킹그룹에서 논의한 뒤 추진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한 데 대해 "대사가 주재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언론에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대단히 부적절하다"며 강한 유감의 뜻을 나타냈다.

조선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작년 11월 15일 청와대에서 해리 해리스 주한 미 대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해리스 대사가 전날 외신 간담회에서 한 발언을 어떻게 평가하나'라는 질문에 "미국과는 항시 긴밀하게 공조하며 협의하고 있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정부는 남북관계의 실질적 진전과 조속한 미·북 대화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면서 "남북 협력 관련 부분은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했다.

해리스 대사는 전날 외신 간담회에서 북한 개별 관광 허용에 대한 입장을 묻는 말에 "남북협력 사업 등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체인 '한·미 워킹그룹'이 있다. 워킹그룹은 관광, 철도 연결 사업 조사, (대북) 지원 등을 논의하기 위해 2018년 11월 설립됐다"며 "나는 한국이 이러한 아이디어를 워킹그룹을 거친 뒤 실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별 관광) 여행객의 소지품 중에 대북 제재에 위반되는 품목이 있을 수도 있다"면서 "나중에 제재를 유발할 수 있는 오해를 피하기 위해선 워킹그룹에서 다루는 것이 낫다"고 했다.

청와대가 해리스 대사 발언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지적하고 나오면서 현 정부의 남북협력 독자 추진 방침을 두고 한·미 간 긴장이 조성되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해리스 대사의 전날 발언을 "대통령 발언에 대한 언급"이라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와 신년 회견에서 밝힌 남북 협력 구상에 대해 이견을 제시한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또 남북 협력 부분은 한국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밝혀, 한·미 간 협의가 필요하다는 해리스 대사의 발언이 주권 침해 소지가 있다고 받아들이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미 백악관과 국무부도 문 대통령 신년사를 기점으로 한국 정부가 금강산 개별 관광 추진 의사를 밝히며 대북 제재 우회로 찾기를 본격화한 데 대해 "대북 제재를 이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정부·여당에서도 이날 해리스 대사에 대해 때리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은 이날 해리스 대사 발언에 대해 "우리가 미국대사가 한 말대로 따라야 한다면 대사가 무슨 조선 총독이냐"라고 했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해리스 대사 발언과 관련해 "대사 발언에 대해서 언급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면서도 "대북정책은 대한민국의 주권에 해당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했다. 여권의 이런 기조를 두고 남북 협력 독자 추진을 위해 미국과의 갈등도 불사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박정엽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