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총선 이모저모

총선 ‘이낙연 효과’ 얼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새 총리 임명안 처리 앞두고 당·정·청 마지막 만찬 회동

여당 선대위원장 맡으며 종로 출마 유력설에 무게

“호남 외엔 제한적” 분석도



경향신문

이낙연 국무총리(왼쪽 앞에서 두번째)가 지난해 10월 태풍 미탁 피해지역인 경북 울진군 매화면에서 주민들과 마을회관에서 막걸리 오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68)의 여의도 복귀가 임박했다. 21대 총선 출마 공직자 사퇴 시한(16일)을 앞두고 늦어도 이달 말에는 더불어민주당으로 돌아와 공동선대위원장을 맡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2014년 3월 전남지사 출마를 위해 국회의원직을 사퇴한 이후 6년 만의 귀환이다.

이 총리는 12일 총리 공관에서 열린 주례 당·정·청 만찬 회동에 참석했다. 총리로서 마지막 만찬이다. 이 총리는 후임자인 정세균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13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되면 곧바로 사퇴할 가능성이 높다. 당내에서 이 총리 역할론·효과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총선 역할론과 관련해선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아 서울 종로에 출마할 가능성이 유력하다. 비례대표 출마설엔 선을 그었다. 광주방송 인터뷰에서 “비례대표를 원하는 건 과욕”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종로 출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봐야 하고,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을 가능성도 높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 총리가 종로를 선점한 상태에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를 몰아붙이는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마 예상지로 분구가 예상되는 세종 지역도 거론된다. 불출마하는 이해찬 대표의 지역구인 만큼 중량감 있는 인사가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이낙연 효과’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이 총리 출신지인 호남 지역에서 파급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광주시당위원장인 송갑석 의원은 통화에서 “이 총리 컴백 자체가 지역에서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호남을 제외한 전국 선거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총리도 지역구 당선이 우선 과제인 만큼, 전국 유세 지원은 후순위가 될 수밖에 없다. 당내에서는 2016년 총선 때 오세훈 당시 새누리당 후보의 낙선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 후보는 다른 지역구 지원에 공을 들이다 정작 자기 선거에서는 패했다.

권역별 공동선대위원장체제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대선주자급 인사들이 각자 출마지를 뛰면서 해당 권역에서 공동선대위원장을 맡는 방안이다. 당 고위 관계자는 “이 총리가 지역구 선거를 준비하며 전국을 아우를 수 없으니 (권역별 선대위원장 같은)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진용 기자 sim@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