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한국 GDP 톱10 재진입, 1년 늦춰진 2027년 될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국 CEBR ‘세계 경제 순위표’… 지난해 12위로 14년째 10위권밖
한국일보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대형 크레인이 선박에 수출 화물을 싣고 있다. 수출이 지난해 12월 이후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 규모가 ‘세계 톱 10’에 재진입하려면 7년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중 무역갈등과 중국 경기 둔화의 영향력이 생각보다 한국 경제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이유에서다.

1일 영국 싱크탱크 경제경영연구소(CEBR)가 최근 발표한 2020년 연례 ‘세계 경제 순위표(League Table)’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조6,300억달러로 추정됐다. 이는 조사 대상 193개국 중 12위에 해당되는 순위다. 한국은 2005년 10위를 기록한 이후 GDP 세계 순위에서 14년째 10위권 밖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CEBR은 한국이 톱 10 재진입에 실패한 이유를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수요 감소가 불러온 중국의 경기둔화가 한국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CEBR은 한국의 GDP가 다시 10위에 올라서는 시점을 2027년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0위권 재진입 시점을 2026년으로 전망했던 것에서 1년 늦춘 것이다. 연도별 GDP 성장률과 관련해서는 2020∼2025년에는 연평균 2.8% 성장하고 이어 2026∼2034년에는 연평균 2.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소 측은 지난해에 “한국이 통일이 된다면 2030년에 세계 6위로 뛰어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던 것과 달리 올해 보고서에서는 통일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오르는 시점은 2033년으로 전망됐다. 인도의 GDP는 올해 프랑스와 영국을 제치고 5위에 올라선 뒤 2026년에는 4위인 독일을, 2034년에는 3위인 일본을 각각 따라잡을 것으로 예상됐다.

CEBR은 GDP 순위에서 한 단계씩 떨어진 영국과 프랑스가 2034년까지 줄곧 6, 7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2020년에 8위인 이탈리아는 2029년을 전후해 탑 10에서 빠지고, 9, 10위인 브라질과 캐나다는 2024년 이후 8, 9위로 소폭 순위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11위인 러시아는 2034년에도 12위를 기록하며 탑 10 진입에 계속 실패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재호 기자 next88@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