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국토부, 항공정책 밑그림 발표..“드론택시 육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인천공항 1터미널 계류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5년간 외국인 관광객을 늘리기 위한 항공ㆍ관광 융복합 정책이 추진된다. 드론 택시 등 미래 도심형 항공모빌리티 육성을 위한 투자도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항공정책기본계획(2020~2024년)’을 확정해 고시했다. 이번 계획은 2020년부터 향후 5년간 항공정책의 비전과 전략을 담았다. 항공정책기본계획은 항공운송, 안전, 공항개발, 보안 등을 종합하는 항공분야 법정 최상위 계획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항공정책의 밑그림이 된다.

3차 기본계획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항공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기존 아웃바운드(내국인 출국) 중심에서 인바운드(외국인 방한객) 신규 수요 유치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는 등 항공ㆍ관광 융복합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2025년 도심형 항공교통 실용화를 목표로 내년 5월까지 도심형 항공교통의 세부 계획을 담은 로드맵을 마련해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민관이 보유한 항공 안전 관련 데이터를 통합 수집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드론 테러 방지 시스템도 강화하기로 했다.

스마트공항 수준도 높여 향후 5년간 생체인식ㆍAI에 기반한 탑승 수속과 보안검색, 수하물 처리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그 동안 제도권 밖에 있던 정비, 지상조업, 부품ㆍ기계장비ㆍ공항운영 장비 제조업, 식음료 등 각종 파생ㆍ연관 사업 활동도 항공 산업 개념에 포함해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공항을 단순 교통망에서 지역 신산업 육성 기지로 전환하고, 항공 수요 증가에 따른 각종 장애와 안전ㆍ보안 위협에 대응해 빅데이터와 AI에 기반을 둔 보안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권용복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몇 년 내 가시화될 도심형 항공모빌리티 상용화 준비 등 미래항공교통의 새로운 장을 제시하고, 항공산업이 관광ㆍ제작ㆍ물류ㆍ서비스 등과 연계한 종합네트워크산업으로 도약하는 데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김기중기자 k2j@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