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디플레 아니지만 소비심리 살아나지 않아 우려
올해 물가상승률 0.4%…1965년 집계이래 최저 |
(세종=연합뉴스) 이 율 이대희 기자 =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65년 통계집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저물가 장기화에 따른 소비 부진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우리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질 가능성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내년에는 물가가 올해보다 상승폭을 키울 것이라는 게 정부와 경제연구기관들의 전망이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0.4% 상승하는 데 그쳐 1965년 통계집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0%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외환위기 여파가 한창이었던 1999년(0.8%), 저유가와 경기 부진이 겹친 2015년(0.7%) 등 세 차례뿐이다.
농산물·석유류 가격 하락 등 공급측 하방 충격이 -0.36%포인트, 의료비와 교육비 등 복지정책 확대와 유류세 인하 등 정책요인이 -0.24%포인트씩 소비자물가를 끌어내렸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내년에는 농산물·석유류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물가가 올해보다 높은 1.0%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디플레이션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통계청, 2019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 브리핑 |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내년에 물가 하락요인으로 고교 전면 무상교육,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이 있기는 하지만, 농산물이나 석유류 가격 하락 기저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물가상승률은 올해보다 더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디플레이션에 대해서는 크게 우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상승률이 상품과 서비스 전반에서 일정 기간 지속해서 0% 아래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자산시장 불안 등의 충격으로 총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제에 악영향이 증폭된다.
경제전문가들은 당장 우리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진 것은 아니지만, 저물가가 이어지면서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않는 게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항상 디플레이션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오준범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현재 우리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진 것은 아니지만, 물가상승률이 너무 낮은 수준으로 이어지는 게 우려스럽다"면서 "디플레이션 국면에서는 소비를 안 하게 되는데, 소비심리가 살아나지 않는 상황이 너무 오래 지속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내년에 물가가 오르긴 할 테지만 농수산물이나 석유류 가격 등 공급 측면에서 오르는 것이지 수요 측면에서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그동안 수요가 많이 줄어서 소비자물가가 0%대에서 오락가락하거나 마이너스가 됐다"면서 "내년에는 물가가 올해보다 조금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성장률이 둔화하고 경제활력이 떨어지면서 생산가능인구도 줄고 총수요가 줄어들 요인이 상당히 있는데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고 금리를 내리는 등 디플레이션을 막으려 하고 있다"면서 "내년에 디플레이션이 온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영민 LG경제연구원장은 최근 연합뉴스가 진행한 2020년 경제전망 설문조사에서 "아직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 당장 디플레이션에 빠지지는 않겠지만, 저성장과 고령화 등 구조적으로 물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0%대의 저물가가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가 충격을 받을 때 우리 경제가 일본처럼 디플레에 빠질 가능성은 항상 우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정표 한국개발연구원장은 "우리 경제가 단기간 내에 디플레이션을 경험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물가 상승률의 추세적 하락이 디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징후임에는 틀림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내년 물가 상승률은 금융연구원이 1.1%, 현대경제연구원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1.0%, LG경제연구원은 0%대 후반, 한국개발연구원은 0.6%, 한국경제연구원은 0.5%로 각각 전망했다.
yuls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