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5G 군집비행 드론 등 무인이동체 개발에 내년 269억 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무인이동체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수립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5세대(5G) 이동통신을 활용한 군집비행 드론 같은 무인이동체 기술을 개발하는 데 내년 총 269억원이 투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0년도 과기정통부 무인이동체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이같이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연합뉴스

5G기반 DNA+ 드론 운용 예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내년도 사업 예산은 올해보다 94% 증가했다, 전체 예산 269억원 중 197억원이 신규 사업에 지원된다. 우선 육·해·공 무인이동체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부품을 개발하고, 무인이동체 간 자율협력을 위한 운용체계를 구현하는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이 새로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이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사업단을 운용하고 연구진 간 기술교류와 워크숍 개최, 관련 산업 실태 조사 등을 지원하게 할 방침이다. 이 사업은 내년부터 2026년까지 진행되며 총 1천702억8천만원이 투입된다.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기술을 드론에 접목해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려는 'DNA+ 드론기술개발' 사업도 새로 기획됐다. 사업은 내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되며 과기정통부는 이 기간 총 45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드론 운용사와 이동통신사, 인공지능(AI) 전문기업, 공공 연구기관 등이 '컨소시엄'을 이뤄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연합뉴스

무인이동체 분야 연도별 예산규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안전하고 편리한 드론 운용을 위해 과기정통부는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기술개발'에도 내년 30억원을 지원한다. 무인이동체 중소기업 성장 지원에 25억원을, 재난 예방·대응을 위한 무인기 개발에 17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고서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고성능 무인이동체 핵심기술확보, 5G 활용 드론 서비스 모델 창출, 인프라 확충 등의 정책·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성과를 낼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2020년도 분야별 투자 규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s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