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투데이 백연식 기자]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5G 요금제 개편을 앞두고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5G 무제한 요금제 프로모션 종료가 임박했기 때문이다. KT의 경우 이미 가격 8만원의 프로모션 없는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했기 때문에 고민이 덜 한 상황이다. 정부는 3~4만원대의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요구하고 있으나, 이통사들은 실적 악화 및 5G 설비 투자로 경영 여건이 좋지 않다며 당장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정부는 5G 상용화 1주년인 내년 4월까지 이통사들이 5G 중·저가 요금제를 출시하는 것이 목표다.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요금 인가제 대상 사업자인 SK텔레콤을 비롯해 LG유플러스 등 이통사들은 정부에 5G 요금제 개편안을 아직 접수하지 않았다. 현재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KT와 달리 프로모션 형식으로 연내 가입자를 대상으로 8만원대의 가격에 5G 데이터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제공하고 있다. 만약 이들 이통사가 프로모션을 연장하거나 요금제 개편을 하지 않을 경우 8만원대 5G 완전 무제한 요금제는 KT만 제공하게 된다.
과기정통부 통신이용제도과 관계자는 "아직 SK텔레콤 등 이통사들이 정부에 요금제 개편안 신청(접수)를 하지 않았다"며 "(인가 사업자인) SK텔레콤의 경우 기존 요금제보다 저렴하거나 데이터 등 혜택이 많은 요금제를 가져올 경우 (다른 이통사들처럼) 인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전환된다"고 말했다.
프로모션이 아닌 정규 5G 완전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슈퍼플랜 베이직)를 출시한 KT의 요금은 월 8만원(부가세포함)이다. 반면, SK텔레콤의 경우 연내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모션용 무제한 요금제인 12만5000원 플래티넘과 9만5000원 프라임(프로모션 시 8만9000원)은 원래 5G 상용화 전 인가 받을 당시 각각 기본 데이터 300GB · 200GB에 소진 이후 속도제어를 통한 데이터 무제한을 제공했다.
LG유플러스의 프로모션용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는 각각 8만5000원, 9만5000원, 10만5000원인 5G 스페셜, 5G 프리미엄, 5G 플래티넘 등이 있는데 SK텔레콤처럼 연내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다. LG유플러스가 인가 받을 당시 9만5000원 요금제는 250GB의 기본 데이터(소진 시 속도제어)를 제공했다. 하지만 KT가 8만원의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하자 LG유플러스 역시 SK텔레콤에 이어 프로모션 방식으로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내놨고, 8만원대 요금제를 새로 출시했다.
이미지=ETRI (이미지 편집=백연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제는 5G 요금제 개편을 준비하는 이통사에게 정부가 5G 중저가 요금제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열린 이통3사 CEO와의 간담회를 통해 "5G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하는 각계 각층 소비자들의 요구를 고려해서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도 노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여기에 이통3사 CEO들은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정부에 냈지만 박정호 SK텔레콤은 기자들에게 시기상조라고 언급했다. 이통사들은 자체적으로 5G 가입자가 1000만 이상이 돼야 이를 고려할 수 있다며 아직 이르다고 보고 있다. 12월 현재 5G 가입자는 470만명 수준으로 추산된다. 5G 중저가 요금제에 대한 정부와 이통사의 힘겨루기는 계속되고 있는데 연내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통사가 계속해서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를 미루자 정부는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인수 승인 조건으로 알뜰폰 활성화를 내걸었다. 즉 LG유플러스의 5G 망도매대가를 인하해서 알뜰폰을 통해 3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하게 하고, 이통3사를 자극시켜 5G 중저가 요금제를 출시하도록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CJ헬로 등 알뜰폰 업체가 새로 출시 예정인 5G 중저가 요금제를 통해 5G 가입자를 많이 유치한다면 시장 논리에 따라 이통사들은 5G 중저가 요금제를 예상보다 빨리 출시할 수 있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는 "통신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비합리적인 요구가 실제로 성사돼 왔다"며 "5G 요금 인하는 비합리적이다. 5G 초기 서비스 상황에서 통신사는 필요 이상의 CAPEX와 마케팅 비용을 부담해왔다. 현 정부는 출범시 요금 인하와 관련한 다양한 요구를 제시했고, 선택 약정 할인율 25% 상향 조정을 통해 정부의 의도(공약)는 100% 이상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