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국민은행·신한카드·현대카드는 가장 높은 '우수' 등급을 받았다. 금감원은 종합등급 5등급 체계(우수·양호·보통·미흡·취약)로 분류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8개 금융사 대상 2018년도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 국민은행·신한카드·현대카드 3사(4.4%)가 '우수'등급, 36사(52.9%)가 '양호'등급, 27사(39.7%)가 '보통'등급, 우리·하나은행 2사(2.9%)가 '미흡'등급을 받았다. 업권별로 보면 각 은행은 소비자보호 수준에 차이가 있어 우수 1사, 양호 4사, 보통 5사, 미흡 2사로 나타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 소비자보호 관련 인프라가 전반적으로 잘 구축돼 있지만, 가입목적·재산 등 소비자 상황을 고려한 투자권유 행위는 미흡했다'며 "초고령자에 대한 고위험상품 판매정책이 은행별로 차이를 보였고, 해피콜(사후모니터링)은 영업부서가 담당해 상품가입 소비자 진의 파악보다 계약의 사후보완에 집중했다"고 밝혔다. 은행 성과보상체계(KPI)도 판매목표 달성 및 수익성 위주로 설계돼 소비자보호 한계로 지적됐다.
보험 종합등급은 생보사 양호 9사·보통 9사, 손보사 양호 7사·보통 4사로 나타났다. 민원건수가 증가(전년대비 7.5%), 낮은 자율조정성립률(48.7%) 등의 영향으로 민원 관련 계량평가가 전년 대비 저조했다. 법인대리점(GA), 전화판매(TM) 관련 판매방식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증가했고, 즉시연금·암입원비 관련 보험금 지급 보류 등 이슈도 문제시됐다. 보험금 산정·지급 관련 민원(33.5%)이 2018년 보험 민원 중 가장 비중이 높았다.
카드업권은 전 업체가 종합등급 '양호'(우수 2사·양호 5사) 이상을 시현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