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레바논 반정부 시위 두 달…새 총리 후보 협의 또 연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폭력 사태로 긴장 고조…정국 혼란 장기화

(카이로=연합뉴스) 노재현 특파원 = 지중해 연안 중동국가 레바논에서 민생고에 따른 반정부 시위가 벌어진 지 두 달이 됐지만 새 내각 구성이 계속 지연되면서 정국 혼란이 장기화하고 있다.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새 총리 후보를 지명하기 위한 의회와의 협의를 오는 19일로 사흘 미룬다고 발표했다고 AFP, AP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아운 대통령은 일정 연기가 지난 10월 사퇴를 선언한 사드 하리리 총리의 요청에 따른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처는 폭력 사태로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나왔다.

지난 14∼15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반정부 시위대와 경찰이 충돌하면서 수십명이 다쳤다.

경찰은 레바논 의회 쪽으로 거리 행진을 하던 시위대를 향해 고무탄과 최루가스를 발사했고 시위대는 돌을 던지며 맞섰다.

일부 시위대는 하리리가 차기 총리로 지명되는데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레바논군은 16일 성명을 내고 개인 및 공공재산에 대한 파괴 행위가 벌어지고 있다며 혼란 확산을 우려했다.

연합뉴스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경찰과 시위대의 충돌로 불에 탄 시위 천막[EPA=연합뉴스]



레바논 정치권의 총리 후보 논의가 미뤄지기는 처음이 아니다.

아운 대통령은 지난 9일로 예정됐던 의회와 협의를 시간이 추가로 필요하다며 1주일 연기했었다.

앞서 레바논에서는 지난 10월 17일 메신저 프로그램의 세금 계획에 대한 반발로 반정부 시위가 시작됐으며 하리리 총리는 10월 29일 사퇴를 발표했다.

그동안 무함마드 사파디 전 재무장관, 사업가 사미르 카팁 등이 새 총리 후보로 거론됐지만, 시위대의 반발과 정파 간 이견 등으로 무산됐다.

시위대는 막대한 국가부채, 실업률 등 경제난과 기득권 정치인들의 부패를 비판하면서 전문적 기술관료들로 구성된 내각을 요구하고 있다.

레바논의 국가부채는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150%나 될 정도로 심각하고 청년층 실업률은 30%가 넘는다.

그러나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 이슬람 시아파 정파 헤즈볼라는 내각에 정치인들이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레바논의 수니파 이슬람 최고 지도자인 셰이크 압델 라티프 드리안은 지난 8일 하리리를 총리 후보로 다시 지지한다고 밝혔다.

종파가 다양한 레바논은 명목상 대통령제(임기 6년의 단임제)이지만 사실상 총리가 실권을 쥐는 내각제에 가깝다.

정파 간 권력 안배를 규정한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마론파 기독교, 총리는 이슬람 수니파, 국회의장은 이슬람 시아파가 각각 맡는 독특한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의 반정부 시위[EPA=연합뉴스]



noj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