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세종시에서 유치기획단 현판식
산업부·기재부·부산시 등 정부 조직 출범
2021년 유치의향서, 2023년 개최지 결정
16일 세종시에서 출범한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기획단 현판식. [사진 부산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가 차원의 ‘2030 부산 월드 엑스포(세계박람회)’ 유치가 본격화한다. 범정부 조직이 공식 활동에 돌입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시는 16일 오전 세종시 파이낸스센터에서 성윤모 장관과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 오거돈 부산시장, 더불어민주당 최인호 의원, 최재철 국제박람회기구(BIE) 협력 대사 등 주요 인사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기획단 현판식을 가졌다.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을 단장으로 하는 유치기획단은 산업부 5명, 기획재정부 1명, 외교부 1명, 해양수산부 1명, 부산시 5명 등 공무원 13명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직원 1명 등 14명으로 구성됐다.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유치를 위한 범정부 조직이 출범한 것이다.
현판식에서 성윤모 장관은 “2030년 세계박람회 유치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3대 행사(올림픽·월드컵·등록엑스포)를 모두 개최하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된다”면서 “국가·지역 브랜드를 크게 높여 부산·경남 등 제2 경제권의 부흥과 국가균형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16일 세종시에서 열린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기획단 현판식. [사진 부산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거돈 시장은 “이제부터는 범정부 유치기획단을 중심으로 우리 시와의 긴밀한 협조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유치 준비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역대 사례를 보더라도 국가 간 유치경쟁이 치열하므로 유치기획단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치기획단은 월드 엑스포를 관장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보고서 마련을 위한 주제개발, 기본계획인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약 1년 6개월 소요)을 거쳐 기본계획 마련에 나선다. 내년 2월 민간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구성한 뒤 하반기에 민관합동 유치위원회를 발족하고 범국가적인 유치활동에 나선다. 이르면 2021년 5월 박람회 유치의향서를 BIE에 제출하고 2023년 국제박람회 기구 실사에 대응한다.
2030년 월드 엑스포 개최지는 2023년 11월 BIE 총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2030년 개최지를 놓고 러시아·프랑스 등 6~7개국이 경쟁할 전망이다.
지난 7월 4일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열린 202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컨퍼런스의 한 장면. [사진 부산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산업부는 지난 11월 13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부산에서 열린 제48회 국무회의에서 2030 부산 세계박람회 개최 계획안을 보고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엑스포는 2030년 5월부터 10월 31일까지 184일간 부산 북항 일원(육지 224만㎡·수역 42만㎡)에서 개최된다. 관람 인원은 160여 개국 5050만명으로 잡고 있다. 총 사업비는 국비 1조2000억원 등 4조8995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등록엑스포는 인류의 진보를 주제로 BIE에 등록되는 5년 주기의 대규모 박람회를 말한다. 과거 대전·여수에서 개최된 엑스포는 인정엑스포다. 인정엑스포는 특정 주제에 따라 등록엑스포 사이에 개최하는 중규모 박람회다.
2030년 등록엑스포 유치에 성공하면 국내에서 개최되는 첫 번째 등록엑스포가 된다. 이 경우 전 세계 12번째, 아시아 4번째 등록 엑스포 개최국이 된다. 또 올림픽·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주요 국제행사를 모두 개최하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된다. 지금까지 등록엑스포를 개최한 나라는 벨이기·프랑스·미국·아이티·캐나다·일본·스페인·독일·중국·이탈리아·UAE 등이다.
산업부는 등록엑스포를 유치하면 인공지능, 스마트시티·항만 등 ‘스마트 혁신 강국’으로서 국가 위상을 높이고 동남권(부산·울산·경남) 경제발전, 국가균형발전 계기로 활용할 계획이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