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사설] 文 핵심 모두 등장하는 유재수 비호와 농단 사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검찰이 김경수 경남지사,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천경득 선임행정관 등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측근들이 '유재수 감찰 무마'에 개입한 단서를 확보해 수사 중이라고 한다. 2017년 청와대 특감반 감찰에 걸린 유씨가 이들에게 "도와달라"고 했다는 것이다. 유씨 진술이고 관련 통화 내역도 나왔다고 한다. 이들이 유씨의 청탁을 받은 뒤 백원우 당시 민정비서관과 통화한 사실도 드러났다. '유재수 구명'을 위해 실제 뛰었다는 것이다.

유씨와 김 지사 등은 노무현 정권 시절 청와대에 함께 근무하면서 친분을 쌓은 사이라고 한다. 이 정권 초기 텔레그램 대화방을 만들어 금융위 인사 문제를 상의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특감반이 유씨 휴대전화를 포렌식해 파악한 내용이다. 금융위 요직에 있던 유씨가 여러 후보를 찾아 올리면 이들이 그중 한명을 선정하는 방식이었다고 한다. 거꾸로 이들이 유씨에게 인사 청탁을 넣고 실제 임명된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주요 정부 부처의 공직 인사가 청와대 인사수석, 금융위원장이 아니라 정권 실세들의 사적 친분과 이해관계에 따라 농단됐다는 뜻이다. 거기서 더 나아가 뇌물 비리까지 덮어줬다고 한다. 이러면서 입만 열면 '정의'와 '공정'을 외친다.

유재수 사건은 공직자 개인 일탈 범죄가 아니라 정권 차원의 조직적 비리라는 점이 갈수록 명확해지고 있다. 유씨의 뒷배가 김경수·윤건영·천경득 3인방뿐이 아니라는 증거와 정황이 너무 많다. 조국 당시 민정수석은 "주변에서 전화가 너무 많이 온다"며 유씨 감찰 중단을 지시했다고 한다. 일면식도 없는 유씨에 대해 처음엔 '강하게 감찰하라'고 했다가 갑자기 입장을 바꾼 것이다. 청와대 민정수석이 거부할 수 없는 위의 '지시'가 있었다는 뜻이다. 유씨는 비리 감찰을 받고서도 금융위원장 추천으로 국회 수석전문위원으로 옮겼다가 부산시 경제부시장으로 다시 영전했다. 누군가 금융위원장과 민주당 소속 부산시장까지 움직인 것이다. 이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이 나라에 몇 명이나 되겠나. 거기에다 대통령의 최측근들이 한 명도 아니고 여럿이 동시에 유씨 구명 작전에 뛰어들었다. 이 모든 일을 대통령 모르게 할 수 있나. 대통령은 진짜 무관한가.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