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조국사태 이어…기세오른 한국당 `폭풍공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親文의혹' 일파만파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이 28일 문재인 대통령 측근들의 잇따른 비리 의혹을 파헤치기 위해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바로 첫 번째 회의를 여는 등 대여 공세 수위를 높였다. 한국당은 조만간 국회에 국정조사 요구서도 제출할 계획이다.

'조국 사태' 때처럼 청와대 핵심 인사들의 비위 의혹을 부각시켜 정국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긴급 의원총회에서 △김기현 전 울산시장 기획 수사 의혹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감찰 무마 의혹 △우리들병원 특혜 대출 의혹을 '3종 친문 농단·게이트'로 규정했다. 나 원내대표는 "3종 게이트는 문재인 정권 내 권력형 비리의 빙산의 일각"이라며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회를 통해 실체를 파악하고 향후 국정조사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검사 출신 곽상도 의원을 진상조사위원장으로 내세웠다.

친문게이트 진상조사위원회는 같은 날 오후 바로 첫 번째 회의를 개최했다. 나 원내대표는 "3대 농단 중 가장 큰 농단은 역시 울산시장 관련 농단"이라며 "울산시장 선거를 보면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사실상 선거대책본부 역할을 했다"고 비난했다.

김 전 울산시장 역시 "헌정 사상 유례 없는 권력형 선거 강탈행위"라며 "조국과 백원우 선을 넘어선 강력한 배후가 있을 것이라 거의 확신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사안이 대통령 책임이 있는 사안으로 번지면 매우 중대한 사태가 된다"고 덧붙였다.

곽 의원은 이날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유 전 부시장에 대한 감찰을 무마시킨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전 수석이 부산에 블록체인 특구를 유치하기 위해 금융위원회 출신 유 전 부시장을 데려왔다고 알려졌는데, 그렇다면 감찰을 무마한 것과도 연관성이 있지 않겠느냐는 주장이다. 곽 의원은 "물론 단정할 구체적인 자료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최근 (유 전 부시장) 논란이 불거지고 이 전 수석이 중국으로 피했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범죄와 특혜로 물든 청와대를 지금까지 상상해본 적이 없다"며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수석들이 비리로 수사받고 재판받는 정부가 어디 있느냐"고 질타했다.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