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미술의 세계

英 케임브리지대, 약탈 문화재 120년만에 나이지리아에 반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05년 학부모가 기증한 수탉 조각상…"왕족 가보"라며 학내 전시

연합뉴스

나이지리아로 돌아가는 청동수탉
[지저스칼리지 홈페이지 캡처=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 영국군이 19세기 말 아프리카 베냉 왕국에서 약탈해온 수탉 동상이 100년이 넘는 세월이 지나서야 고국으로 완전히 돌아갈 수 있게 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지저스 칼리지는 1905년 한 학부모가 기증한 수탉 동상을 나이지리아에 반환하기로 결정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과 BBC 방송 등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수탉 동상은 1897년 영국이 지금의 나이지리아 남부에 있던 베냉 왕국을 식민지로 삼으면서 휩쓸어온 청동 유물로, 나이지리아로 소유권까지 넘겨지는 첫 번째 '베냉 브론즈'가 된다.

베냉왕국이 식민 지배를 받는 동안 영국 등 제국주의 국가들이 이곳에서 약탈해간 청동 유물은 1천점에 달하며 그중 900점이 대영박물관 등 세계 곳곳에 전시돼 있다.

조지 윌리엄 네빌 대령이 기증한 이 동상은 "왕족의 가보"라는 설명과 함께 지저스 칼리지 학생 식당에 전시돼 오다가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2016년부터 학교에서 모습을 감췄다.

대학 측은 나이지리아 문화유산위원회와 베냉 왕실, 유럽 각국 박물관 대표 등으로 구성된 베냉대화그룹(Benin Dialogue Group)과 논의를 거쳐 3년 만에 동상을 반환하기로 했다.

소니아 앨런 지저스 칼리지 학장은 동상 반환 결정이 역사를 지우겠다는 차원에서 이뤄진 게 아니라 정직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BDG에서 활동하는 나이지리아 출신 예술가 빅터 에히카메너는 이번 결정을 두고 "아주 작은 행동으로 보일지 몰라도 영국이 빼앗아간 베냉 왕국의 유물 반환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큰 족적을 남겼다"고 평가했다.

댄 힉스 BDG 대표는 영국의 문화재 약탈 흔적은 대영박물관과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뿐만 아니라 미술관, 대학 소장품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영국 맨체스터 대학이 소유한 맨체스터 박물관은 지난 20일 영국 기관 중 최초로 호주 원주민에게서 빼앗은 전통 장식품 등 문화재를 한 세기 만에 반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과거 제국주의 시절 강제로 빼앗은 문화재를 돌려줘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해 3월 아프리카 문화재 반환검토 특별고문을 위촉하고 프랑스 문화재 관리법의 개정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대통령에게 제출하도록 했다.

이들은 지난해 11월 제출한 보고서에서 1885∼1960년 사이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프랑스 군대와 정부가 약탈한 문화재의 경우 해당 국가 정부의 공식 요구가 있으면 문화재를 영구반환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runra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