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文대통령 “이제 육로로 대륙 가로지를 일 남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남방정책 이어 신북방 의지 밝혀

“한-메콩 협력해 상생의 동아시아로”… 동반자관계 구축 ‘한강-메콩강 선언’

동아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부산에서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를 마친 뒤 참가국 정상들과 한-메콩 생물다양성 협력 특별전을 둘러보고 있다. 문 대통령은 메콩강 인근 국가인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등 5개국 정상이 참석한 회의에서 “메콩과 한국은 사람이 행복한 평화와 상생 번영의 동아시아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한-메콩 정상회의에서 “메콩과 한국은 사람이 행복한 평화와 상생 번영의 동아시아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부산에서 열린 회의에는 메콩강 인근 국가인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등 5개국 정상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회의 뒤 공동언론발표에서 “3억 명에 달하는 메콩과 한국의 국민이 서로 긴밀히 교류하며 잘사는 것이 우리의 공동 목표”라며 “한국은 한-미얀마 우정의 다리 건설사업과 같은 도로, 교량, 철도, 항만 등 인프라 확충을 통해 역내 연계성 강화에 기여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과 메콩 국가 정상들은 이날 ‘사람, 번영, 평화의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한 한강-메콩강 선언’을 채택했다. 정상들은 “농촌개발, 인프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 한국의 개발 경험 공유를 통해 메콩 국가들의 공동 번영을 추구한다”며 “한-메콩 기업인 협의회 설립 등을 통해 양측 기업의 경제 활동을 장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메콩 국가 정상들은 한반도 평화에 대한 협력도 강조했다. 정상들은 “평화롭고 안정적인 역내 환경이 메콩 국가와 대한민국의 상호 번영에 중요하다는 확고한 신념에 기초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실현을 위해 함께 긴밀히 노력하기로 한다”고 밝혔다.

이날 한-메콩 정상회의를 끝으로 3박 4일간의 부산 일정을 마무리 지은 문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들과의 지속적인 협력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아세안과의 경제협력은 서로의 미래세대에게 많은 혜택이 돌아가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어려운 고비와 갖은 난관이 우리 앞에 있더라도 교량국가의 꿈을 포기할 수 없다”며 “이제 부산에서부터 육로로 대륙을 가로지르는 일이 남았다”고 말했다. 아세안과의 협력을 담은 신남방정책에 이어 북한, 러시아 등과 교류하는 신북방정책의 의지를 밝힌 것이다.

부산=한상준 기자 alwaysj@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