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 네 모녀 추모위원회’가 21일 서울 성북구 한성대입구역 인근 삼선교분수마루에 ‘성북 네 모녀’ 시민분향소를 열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조문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달 초 경제적 어려움을 겪다 극단적 선택을 한 ‘성북 네 모녀’의 추모분향소가 차려졌다. 시민단체들은 빈곤층 복지에 사각을 드러낸 현행 복지제도를 개선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성북나눔의집 등 60여개 시민단체와 정당으로 구성된 ‘성북 네 모녀 추모위원회’(추모위원회)는 21일 서울 성북구 한성대입구역 인근 삼선교분수마루에 시민 분향소를 설치했다. 추모위원회는 ㄱ씨 등의 장례가 무연고자 장례로 진행된다는 소식에 분향소 설치를 결정했다.
이날 이들은 지난 2일 성북구의 한 다세대주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70대 노모 ㄱ씨와 40대 딸 3명 등 일가족 4명을 추모했다. ㄱ씨 등은 사망 후 상당한 시일이 지나서야 발견됐다. 발견 당시 집 우편함에 채무 이행 통지서 등이 꽂혀 있었다. 이들 모녀가 생전에 생활고를 겪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왔다.
추모위원회는 ㄱ씨 등의 죽음 뒤에 빈곤층을 포괄 못한 복지체계가 자리해있다고 지적했다. 추모위원회는 “2014년 이른바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정부가 전국적으로 (복지 사각지대에 대한) 조사를 하고 관련법을 제·개정했지만 빈곤층의 현실은 변하지 않았다”면서 “이러한 상황은 성북 네 모녀 사건과 같은 비극의 씨앗이 된다”고 했다. 이어 “시민이 요구하면 응답하는 복지로 전환해야 한다”며 부양의무자기준 폐지와 불안정한 영세자영업자·노동자의 위험에 대응하는 복지제도 마련을 촉구했다.
윤해숙 빈곤사회연대 활동가는 “‘송파 세 모녀’ 이후 비슷한 죽음이 잇따랐지만 그때마다 정부와 지자체의 반응은 복사한 것처럼 같았다. (복지체계가 포괄할) 대상을 추가 발굴하겠다, 더 많은 정보를 고려해 (복지 대상을) 찾겠다는 식이다”라며 “묻고 싶다. 사람들을 발굴하고 나면, 그들에게 지자체는 무엇을 줄 수 있나. 성북 네 모녀를 죽기 전에 찾았다면 무엇을 해줄 수 있었나”라고 했다. 이어 “정부, 지자체, 정치권이 통감한다면, 복지제도의 장벽을 허물고 더 많은 사람들이 (제도 안에) 들어오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고(故) 성북 네 모녀’라고 적힌 위패 앞에 분향과 헌화가 이뤄졌다. 추모위원회는 이날 오후 7시 추모제를 한 뒤 오후 9시까지 분향소를 운영했다.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