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한-아세안] 한식 콘테스트·음식문화 포럼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한-아세안 한식요리콘테스트 포스터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세종=연합뉴스) 특별취재단 =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기념해 26일 서울에서 '2019 한식요리 콘테스트 결승전'과 '2019 한-아세안 발효음식문화 포럼'을 연다고 21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번 행사는 식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아세안 국가 간 문화적·경제적 우호 관계를 지속할 기회를 마련하려는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한식요리 콘테스트 결승전에서는 아세안 8개국의 예선 우승자가 참여해 실력을 겨룬다.

이번 콘테스트의 주제는 '쌀을 이용한 한식요리'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아세안 국가의 공통 음식문화로 화합의 의미를 더한다.

전문 심사위원이 맛, 구성, 창의성 등 6가지 기준을 심사해 3팀을 수상자로 선정한다.

같은 날 발효 음식을 주제로 한 '2019 한-아세안 발효음식문화 포럼'도 열린다.

행사에서는 '한국과 아세안의 발효음식문화 가치를 발굴하다'를 주제로 기조 강연에 이어 5개국의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연합뉴스

한-아세안 발효음식문화 포럼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신동화 한국식품산업포럼 회장은 '발효식품의 재조명 -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을 주제로 발효식품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고, 발효 식품 현황을 조명한다.

우리나라 주제 발표자로는 정혜경 호서대 교수가 나서 '장 문화의 문화적 가치와 지속 가능한 미래비전'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 후 지역의 전통 발효식품 - 현대 요리에서의 가치와 유산, 지속성(베트남) ▲ 태국의 토착 발효 콩, 투아나오의 가치와 식품 트렌드(태국) ▲ 인도네시아 발효음식 템페의 아름다움(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의 다양한 발효음식과 식문화의 이해(말레이시아) 등 발표가 이어진다.

종합토론에서는 박상미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 심사기구 의장이 좌장을 맡는다.

농식품부는 "한국의 전통 발효 장과 더불어 아세안 발효식품의 중요성을 깨닫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tsl@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