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베이징=박선미 특파원]미중 1단계 무역합의가 세부사항 조율 및 양국 정상의 서명 단계를 앞두고 '홍콩'이란 난기류를 만났다. 분위기는 양국간 정면 충돌이다. 미국의 홍콩인권법 통과에 중국이 반격을 예고한 만큼 조율 마무리 국면에 들어간 미중 1단계 무역합의가 지연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홍콩인권법 통과 강행이 초래할 수 있는 중국의 보복 조치 중 하나가 미중 무역합의 무산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미 미중 양쪽에서 무역합의 불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중국 싱크탱크인 중국세계화센터의 왕후이야오 소장은 "중국이 금방이라도 보복할 것 처럼 말하고 있는데 현재 진행중인 무역협상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며 "홍콩인권법은 미중 무역협상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심지어 협상 과정을 멈추게 할 수도 있다. 중국은 미국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도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홍콩 사태가 무역합의를 매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홍콩 사태가 적절하고 인도적으로 다뤄지지 않을경우 중국과 무역합의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고 전했다.
금융시장 참여자들 역시 미국의 홍콩인권법 통과가 미중 무역합의를 무산시킬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홍콩인권법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만을 남겨놓은 빠른 전개 분위기에 글로벌 금융시장은 이미 하락세로 돌아선 상황이다.
전날 미 상원이 만장일치로 홍콩인권법을 통과시키자마자 중국 외교부를 비롯한 정부 기관이 전방위적으로 발표한 미국 비난 성명 및 입장들도 내용이 심상치않다.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최종 서명할 경우 반드시 이에 맞서는 보복조치를 할 것임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중국의 보복이 미중 무역합의 불발을 겨냥할 경우 시진핑 중국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중국 인민대학교의 스인홍 국제관계학 교수는 중국의 보복 조치가 가져올 수 있는 리스크를 염두에 두고 "중국이 미국에 할 수 있는 것보다 미국이 중국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은 그동안 미국의 관세공격에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태도로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방식의 같은 관세 부과로 맞섰다. 하지만 그 댓가로 미국으로부터 대만에 대한 무기판매, 중국 소수민족 인권침해에 대한 비난,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첨단기업 제재 등의 공격을 받아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이 보복을 강행할 경우 받는 타격도 상당할 것이란 분석이다.
당장 내년 재선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도 무역합의가 무산될 경우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가 실현되지 않는데서 오는 부작용을 감당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어떻게해서든 미·중 무역협상 타결을 위해 홍콩인권법 최종안에 거부권을 행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상·하원이 홍콩인권법을 통과시키기 전 부터 이미 양국에서 무역협상 비관론들이 터져나오고 있었다는데 주목하고 있다. 미중 1단계 무역 합의의 마무리가 이미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에 무게가 실려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관영언론 환구시보의 후시진 편집장은 트위터를 통해 "미중이 조만간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는 중국인은 거의 없다"면서 "중국은 합의를 원하지만 최악의 시나리오, 즉 연장된 무역전쟁에 대해서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소식통을 인용해 "미중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질 위험에 처해있다"며 연내 타결이 불가능할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한편 블룸버그는 중국이 미국의 홍콩인권법 통과에 대응할 수 있는 보복 수단으로 미중 무역협상 무산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진출 미국 기업들에게 타격을 주거나 북한과 이란 제재 강화에 대한 협력 중단, 양국 외교관계 격하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보복수단으로 꼽았다. 중국은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희토류 카드를 여전히 쥐고 있으며 미국기업을 대거 블랙리스트에 올릴 수 있는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 발표도 앞두고 있다.
베이징=박선미 특파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