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LH인천본부, 남동구 서창동·중구 중산동서 행복주택 입주자 추가 모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거안정 위해 직장, 학교 가까운 곳 또는 대중교통 여건이 편리한 곳에 지어져

-’인천서창2 14BL 행복주택’, ‘인천영종 A-49BL 행복주택리츠’ 등 2곳 각각 모집 예정

-11월28일~12월4일까지 일주일간 접수 진행, 당첨자 발표 2020년 3월10일(화)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가 11월28일~12월4일까지 일주일간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과 중구 중산동 일대에서 행복주택 입주자를 추가로 모집한다고 지난 19일 공고했다.

행복주택은 대학생(취업준비생 포함)과 만 19세~만 39세 이하 청년, 신혼부부 등 사회활동 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직장과 학교가 가까운 곳이나 대중교통 여건이 편리한 곳에 지어지는 공공임대주택이다.

입주가능 대상은 청년계층(만19세~만39세 미만)과 대학생(재학생 또는 다음 학기에 입학 및 복학 예정인 자), 취업준비생(대학이나 고등학교를 졸업(또는 중퇴)한지 2년 이내인 자),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 한부모가족, 고령자(무주택 기간이 1년 이상으로 인천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인 자), 주거급여수급자 등이다.

행복주택은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돼 주거비에 부담이 없으며 커뮤니티 시설도 잘 갖춰져 있어 주거 만족도가 매우 뛰어나다.

LH인천본부는 남동구 서창동 744번지(공공주택사업지구 내 14블록) 일원에 공급하는 ‘인천서창2 14BL 행복주택’에 입주(예비)자를 추가 모집한다.

전용면적 16~36㎡, 총 950가구로 조성되는 단지는 인천지하철 2호선 운연역과 제2경인고속도로가 인접해 있으며, 소래로 연결도로 및 호구포로~남동경기장 연결도로도 위치해 있어 남동구청과 시청 등 인천 각지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국도 42호선 대체우회도로를 통해 시흥, 안산, 송도 등을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신천IC 연결도로도 공사 중에 있어 완료시 서울 및 수도권으로 빠르게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서창2 14BL 행복주택’은 쾌적한 자연환경 및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다. 장아산과 장수천, 소래습지생태공원, 범배산, 인천대공원 등이 인근에 있어 여가와 운동, 취미, 나들이를 즐길 수 있으며 문화예술회관과 소래아트센터, 문학경기장, 남동경기장 등의 시설도 인접해 있다. 여기에 학부모 수요자들을 위한 단지내 국공립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 교육시설도 조성돼 있다.

또한 LH인천본부는 중구 중산동 1887-5번지 일원에 공급하는 ‘인천영종 A-49BL 행복주택리츠’에 입주(예비)자 추가모집을 같은 날 진행한다.

전용면적 22~36㎡, 총 450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단지는 인근에 교육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영종하늘도시초등학교와 영종하늘도시고등학교(각각 2021년 3월 예정)를 비롯해 인천중산초, 인천중산중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영종하늘도시 근린공원도 단지 가까이에 있어 쾌적한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다.

특히 ‘인천영종 A-49BL 행복주택리츠’가 위치한 영종지구는 공항철도로 인한 직주근접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주거지로 주목받고 있다. 공항철도 영종역에서 김포공항역까지 30분내에 이동할 수 있으며 서울역, 공덕역, 홍대입구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등 서울 주요 지역을 40분내외로 접근할 수 있다.

단지는 배후수요도 풍부하다. 인천국제공항과 공항국제업무단지 등으로 약 4만여명의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으며,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2022년 6월 예정)도 완공되면 추가수요는 더욱 늘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인천서창2 14BL 행복주택’과 ‘인천영종 A-49BL 행복주택리츠’의 당첨자 발표는 2020년 3월10일(화) 예정이다.

‘인천서창2 14BL 행복주택’과 ‘인천영종 A-49BL 행복주택리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홈페이지 및 청약센터, LH대표콜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