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아세안 경제, 2030년 세계 4위 도약"…공동번영 '한목소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책기획위 국제콘퍼런스…"한·아세안 협력으로 보호무역·국수주의 극복"

김현철 "한반도 신경제지도·신남방·신북방 결합해 'J축 교량국가' 입지 다져야"

연합뉴스

11월 20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25일부터 개최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기념해 열린 '인클루시브코리아2019' 특별 세션에서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정해구 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보호무역주의 파고 속에 아세안과의 상생·번영에서 희망을 찾아야 합니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공동으로 주최한 '아시아의 평화와 공동번영' 국제 콘퍼런스 이틀째인 21일 참석자들은 빠르게 진행되는 세계질서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아세안의 경제협력과 안보협력 강화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우선 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은 '아시아가 희망이다'라는 주제로 기조세션 첫 발표를 진행했다.

성 이사장은 미리 배포한 발표자료에서 "현재 아세안은 세계 경제에서 8위권의 위치이며, 2030년이 되면 중국·미국·인도에 이어 4위권으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성 이사장은 "아세안 국가들은 젊고 성장률이 높은 역동적 사회경제를 갖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며 최근 타결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아세안 국가들과 한국의 협력 강화를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한국과 아세안이 개방주의·평화주의·포용문명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으로 세계를 혼란으로 몰아가고 있는 보호무역주의, 국수주의, 외국인 배타주의 등 세계적 분열과 갈등을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도 주변 4강(미·중·일·러) 중심의 외교에서 아세안에 대한 외교로 눈을 돌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특히 아세안·인도와의 협력을 중심으로 하는 '신남방정책', 유라시아 지역과의 경제협력 강화를 뼈대로 하는 '신북방정책'을 결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북평화를 기반으로 하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이 이런 신남방정책이나 신북방정책과 시너지 효과를 내며, 한국이 유라시아와 신남방국가를 잇는 'J축' 위의 교량국가로서 입지를 다질 수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연합뉴스

정책기획위원회 제공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한반도 평화체제 및 역내 평화를 위한 아세안과의 협력 중요성에 대한 언급도 이어졌다.

김준형 국립외교원장은 "현재 미국·중국 강대국 권력경쟁의 재부상으로 다자질서 비전이 난관에 빠졌다. 미·중의 패권 경쟁과 영토분쟁, 북한 핵 문제 등으로 냉전적 질서가 조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에서는 남북이 함께 만드는 한반도 주변의 새 질서를 모색해야 한다"며 "남과 북을 연결하고, 더 나아가 유라시아와 중국·동남아를 연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아세안 국가 학자들의 발표도 이어졌다.

응웬 티 탐 베트남 사회과학원 동북아연구소 한국학센터장은 아세안지역포럼(ARF)의 경험을 공유하고 동아시아 다자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부이 꽝 뚜언 베트남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장은 베트남의 '도이모이'(개혁개방) 정책 추진 배경과 과정을 소개하고, 베트남 경제가 최근 직면한 저성장 문제 해소방안에 대한 의견을 발표했다.

hysup@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