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분양가 상한제 당첨가점 70점대 시대? 청약전략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송선옥 기자] [KB부동산 리브온 "유예기간 내년 4월까지 당첨 커트라인 낮아질수도" ]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의 청약 당첨가점이 70점대에 육박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집값이 급등한 지역의 물량을 기다리는 고가점 청약자들이 늘어나 당첨가점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전일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대상지 발표 이후 분양한 ‘르엘 신반포 센트럴’의 당첨 최저점이 69점을 기록했다.

20일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이 아파트투유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년 1월부터 11월초까지 서울 아파트 당첨 평균가점은 지난해 57.8점보다 약 4점 하락한 53.9점을 기록했다. 당첨 커트라인 평균도 53.5점에서 49.6점으로 떨어졌다.

서울 뿐만 아니라 △대구(58.4점→52.3점) △전북(55.8점→50.3점) △강원(52.1점→47.7점) △경남(44.6점→41.6점) △경기(51.5점→49.0점) 등에서 모두 평균 당첨가점이 하락했다.

올해 아파트 당첨 평균가점이 가장 높은 곳은 대전으로 전년 60.4점에 이어 60.8점을 기록해 2년 연속 60점대를 유지했다. 전년과 올해 모두 당첨 평균 가점이 60점을 넘은 곳은 주요 지역 중 대전이 유일하다.

대전은 비규제지역으로 외지인 투자가 늘어난데다 최근 10년 동안 새아파트 입주물량이 줄어든 것이 청약 열기로 이어지면서 청약 가점 또한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대전에 이어 광주(58.3점) 세종(55.7점) 전남(54.6점) 제주(53.5점) 지역들의 평균가점이 높았다. 평균가점 50점 이하 지역은 경기(49.0점) 충북(48.8점) 강원(47.7점) 경남(41.6점) 울산(40.7점) 등 5곳으로 집계됐다.

투기과열지구인 서울 25개구 중 평균가점이 높은 곳은 송파구(68.5점)이며 그 뒤로 강남구(65.4점) 동작구(65.2점) 성북구(64.7점) 서초구(60.3점) 순으로 60점을 넘었다. 이들 지역 중 서초구(55.9점)를 제외한 4개구의 당첨커트라인 최저가점도 60점 이상이다.

KB부동산 리브온은 강남권을 비롯한 강동구 일대 재건축 아파트의 당첨커트라인이 70점대로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는 전매제한 기간이 가격에 따라 계약 후 5년에서 최대 10년까지 처분할 수 없고, 의무거주 요건도 예정되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윤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전문위원은“청약가점이 낮은 무주택자들은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당첨가점이 낮은 틈새지역을 공략해보는 전략도 필요하다"며 "분양가 상한제 유예기간인 내년 4월 이전까지 고가점 수요자들이 청약을 미루면서 당첨커트라인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송선옥 기자 oop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