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 최성재 서울대 명예교수의 100세 시대 생애설계 ] 생애설계는 왜 필요한가?(12-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금까지 ‘오래 사는 것이 장수가 아니다(1)’부터 ‘생애설계의 절차(11)’까지 11개의 칼럼을 통해 생애설계의 필요성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번 칼럼은 두 편으로 나누어 정리하는 의미에서 생애설계의 필요성을 10가지로 요약하고자 한다.

첫째,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고 원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필요하다. 자신이 원하는 삶은 주어진 환경에서, 아니면 자신의 노력으로 변화 가능한 환경에서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활동을 선택하여 살아가는 삶을 말한다. 자신이 원하는 활동은 이상적이거나 상상 속의 것도 아니며, 주어진 상황과 현실을 운명처럼 받아들여 그 속에서 가능한 것만 선택하는 것도 아니다. 생애설계는 필요한 경우 환경의 제약을 극복하면서 자기 삶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주고, 삶의 가치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실현하도록 해준다.

둘째, 인간에게 천부적으로 주어진 자아의식, 상상력 및 양심에 의해 자기 삶을 재설계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인간은 성장 발달하면서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자아의식, 상상력과 양심이 생겨나고 성숙된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부모, 주위 사람, 사회 환경적 영향으로 거의 무의식적으로 이미 써진 인생각본(일종의 생애설계)에 따라 살아가고 있다. 이미 써진 첫 번째 인생 각본은 자신이 주도하여 의식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생애사명이나 목표를 자각하지도 못하거나 이에 대한 책임의식도 없다. 그 각본은 자신의 영향력 밖에 있는 다른 사람들이나 주변 여건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우리 속에 발달하는 자아의식, 상상력과 양심은 첫 번째 만들어진 인생각본을 들여다보고 검토하게 하여 두 번째의 자기 주도적인 인생각본을 쓸 수 있게 해준다. 이같이 우리에게 천부적으로 주어진 자아의식, 상상력과 양심에 따라 쓰는 두 번째 인생각본 즉 자기 주도적 인생각본은 어떤 의미에서 우리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써나가야 하는 것이다(Covey, 1989).

셋째, 생애 시간 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우리는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생 90년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100세까지 생존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90-100년(80-87만 시간)의 생애 시간은 자신이 설정한 인생 목표를 이루기 위해 관리해야 할 시간이다. 생애설계는 자신에게 주어진 생애 시간을 본인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향해 가치 있고 의미 있게 사용하기 위한 계획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생애설계에는 시간관리가 핵심적 요인이 되므로 효과적 시간 관리를 위해서 생애설계가 필요하다.

넷째, 생애주기 각 단계에서 필요한 발달과업 수행을 위해 필요하다. 발달과업은 앞서 설명했듯이 인생주기 각 단계마다 해결하고 넘어가야 할 과제를 말한다. 생애주기는 이제 9단계로 나눌 수 있고 각 단계마다 해결하고 넘어가야 할 발달과업이 있다. 이 발달과업을 잘 해결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성숙하게 발달할 수 있다. 생애설계는 생애주기 각 단계마다의 발달과업을 잘 수행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섯째, 노년기는 그 이전의 생애과정에서 이루어진 행동과 생각이 축적되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하다. 발달과업론에서는 물론 생애과정론에서도 노년기는 이전 여러 단계와 연계되어 있고 그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것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면에서 노년기는 그 이전 생애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이루어진 것들이 축적되어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노년기 이전 생애과정 하나하나를 중시하고 가능하면 각 생애단계의 발달과업과 목표를 잘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성재 - (사)한국생애설계협회 회장/서울대학교 명예교수/전)청와대 고용복지수석/국제노년학·노인의학회(IAGG) UN대표]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