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남극 와 보셨습니까 ④] 남극 바다에 투입된 수중드론… '성공적 탐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바다는 남극의 생태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공간이다. 크릴새우부터 미지의 물고기들까지. 어느 지역에 어떤 종(種)이 많은 지에 따라 펭귄이나 물범의 서식 환경도 달라진다.

김정훈 극지연구소 박사팀은 올해 하계 연구에서 얼음 밑 환경조사를 위해 바다빙하가 갈라진 ‘크랙(crack)’ 사이로 수중 촬영용 드론을 실제 시험해보기로 했다.



조선비즈

연구팀이 수중 드론을 조종해 남극 바다 밑을 살펴보고 있다./김태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소는 장보고 과학기지와 독일의 하계 연구기지인 곤드나와 기지 사이 테라노바만(灣)이다. 이 곳은 웨델물범이 많이 나타나기로 유명하다고 한다. 연구팀이 도착한 시각은 오후 2시. 빙하 위에서 잠을 자고 있던 웨델물범들이 연구팀을 반긴다.

드론 운용 전문가인 서명호 강사가 가장 먼저 빙하의 갈라진 틈 바구니에서 적당한 공간을 찾아냈다. 김 박사와 연구팀원들은 이 틈에 떠 있는 얼음조각을 걷어내기 위해 함께 줄을 부여 잡았다.



"영차, 영차" 장정 4명이 달려들었지만, 얼음은 움직일 기미가 없다. 신발 밑 미끄러운 얼음 덕분에 줄에 힘이 제대로 실리지 않는다. 연구팀은 크랙 사이 드론을 넣을 수 있는 공간만 확보한 상태에서 시험을 하기로 했다.

노란 잠수함을 닮은 이 드론은 물에 들어가자 마자 칠흑같이 어두운 해저로 사라진다. 드론과 연결된 영상 모니터에 정체를 알 수 없는 물고기들이 하나 둘씩 나타난다.



조선비즈

수중드론을 통해 확인된 남극 어류. 연구팀은 이 어종의 표본을 확보해 분석할 예정이다./극지연구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빙하 바로 아랫면에서 작은 빛이 반응한다. 은빛을 뿜어내는 '실버피쉬(silver fish)'다. 실버피쉬는 작은 물고기로 ‘남극 이빨고기(메로)’의 주 먹이이기도 하다.

바닥면에서 다른 물고기도 보인다. 언뜻 세어봐도 족히 수십여 마리. 툭 튀어나온 눈에 선명한 줄무늬가 독특하다. 연구팀은 며칠 뒤 이 물고기를 직접 잡아 표본을 확보하기로 결정했다.

탐사 결과는 대성공이다. 연구팀 모두는 만족스러운 미소를 짓는다. 김 박사는 "수중 드론이 남극 내 해양특별보호구역의 생태계를 연구하는 데 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창간 10주년 기획- 남극 와 보셨습니까] 전체보기

장보고 과학기지(남극)=김태환 기자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