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재정 교육감 "재학 중인 학교서 수능시험 치러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교 교육 황폐화하는 자사고·특목고 반드시 폐지해야"

"경기도 南-北 분도해야 비효율 행정 줄일 수 있다"

뉴스1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사진=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한형종 주무관)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정부=뉴스1) 이상휼 기자 = "수험생이 재학중인 학교에서 수능시험을 치러야 한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13일 오전 의정부시에 위치한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에는 학생이 다니는 학교에서 수능시험을 볼 수 있도록 강력히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능시험을 학생들이 남의 학교에 가서 치르는 이유는 혹시라도 부정행위가 벌어질까 우려돼서라고 한다. 국가가 그런 의심을 하면 안 된다. 부정행위가 의심되면 감독관만 바꾸면 된다"며 "이러한 수능시험 장소 선정 기조는 교육부가 정하는데, 반드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구리에 인창고가 있는데, 서울에도 인창고가 있다. 과거 실제로 수능 당일 구리지역 학생이 서울에 가서 시험을 못 치른 예가 있다. 사유가 있어 수능시험 예비소집에 불참한 학생 중에는 학교명 혼동으로 불상사를 겪기도 한다. 본인이 재학중인 학교에서 시험을 치는 것이 마음도 편하고 제 실력도 발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기자간담회가 열린 북부청사 1층 '김대중홀'은 14일 새벽 4시부터 '2020년 수능 경기도교육청 종합상황실'로 운영된다. 도교육청 북부청사에 수능 종합상황실이 차려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수능 당일 경기도에는 241개 시험장에 15만2433명의 수험생이 시험을 치른다. 이는 전국 수험생 54만여명 중 27%에 달한다.

이 교육감은 뜨거운 논란인 '자율형사립고와 특수목적고 폐지' 문제에 대해서도 "반드시 폐지해야 한다. 고교 교육을 황폐화하고 비정상으로 만드는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사고는 이명박 정권 때 생겼는데 등록금이 일반고보다 3~4배 비싸고 전국적으로 학생을 모집하는 특권을 갖고 있다. 실패한 정책이라고 본다. 대학입시를 운영하는 학원처럼 변질됐기 때문이다. 밤 10시에 학교를 마치면 학생들은 대치동 학원에 간다. 이는 애들을 죽이는 행위다. 다른 일반고에서 이 학생들과 경쟁하려는 학생들도 죽이는 행위다. 자사고와 특목고 입시를 위한 과외 열풍을 불렀고, 평준화 원칙을 벗어난다. 국가가 방치하면 교육이 무너지므로,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인구 1322만명에 달하는 경기도 남부와 북부를 남-북도로 나누는 '분도론'에도 지지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경기남부, 서울, 경기북부는 저마다 다른 환경이다. 가운데 서울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환경이 다를 수밖에 없다. 거리 문제와 시간적 문제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다. 비효율적 행정이 이뤄지고 있다. 경기북부에 김포시까지 포함시키면 인구 400만명이 넘는다. 이는 서울시, 경기남부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인구다. 반드시 분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북부청사에도 대변인을 둬야 하는데 경기도청과 달리 도교육청은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른 시도교육청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교육부가 북부청사에 대변인을 두는 것을 꺼린다"고 덧붙였다.

의정부의 북부청사 광장에는 13억2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9000㎡ 규모 '학교숲'을 조성, 지역민들과 학생들이 함께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청사 1층에는 시민개방형 도서관도 설치해 문화공연 프로그램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학교숲 프로젝트는 지난달 24일 첫삽을 떴으며 내년 5월 완공한다는 목표다.

이에 대해 이 교육감은 "신영복 선생의 저서 '나무야 나무야'에 나오는 '나무가 나무에게 말했습니다. 우리 서로 숲이 되어 지키자'는 문장에 착안했다"면서 "학생 1명당 2그루의 나무를 심어 초, 중, 고등 교육기간 동안 나무와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반려목'이라 할 수 있다"고 학교숲 조성 취지를 밝혔다.

이 교육감은 수능 당일 오전 4시 고양교육지원청에 방문한 뒤 수능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daidaloz@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