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신라천년, 미래천년’ 전시, 신라와 경주를 잇는 천년의 연결통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경주세계문화엑스포에서 1300년 전 융성한 신라 왕경의 모습이 장대하게 재현되고 있다.

이달 24일까지 열리는 ‘2019경주세계문화엑스포’가 선보이는 ‘신라천년, 미래천년’ 전시는 첨단 영상기술을 바탕으로 8세기 서라벌의 모습과 역사문화유산을 특별한 스크린을 통해 선보이며 관람객을 사로잡고 있다.

경주엑스포는 ‘신라천년, 미래천년’ 전시를 위해 황룡사 9층 목탑을 형상화해 2007년 건축한 경주타워를 12년 만에 완전히 새롭게 리모델링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야심차게 준비했다.

이를 통해 경주에서 가장 높은 지상 82m(아파트 30층 높이)의 전망대 ‘선덕홀’에서 과거 서라벌과 현재 경주의 모습을 한 번에 즐기는 시간여행이 펼쳐지며 1300년의 시간을 잇는 통로가 되고 있다.

가상여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몰입형 입체영상 기술인 ‘컨버전스 타임 트립’이다.

동서남북 네 방향 전면 유리위에 20분에 한 번씩 4면 가득 특별한 스크린이 내려와 경주의 모습을 서라벌로 변화시킨다.

세계일보

특히 사방이 트여있는 전망층 유리창에 가변형 스크린을 이용한 영상 콘텐츠 상영을 시도한 것은 경주타워가 국내에서 처음이다.

입체적인 화면으로 신라의 모습을 구현하는 영상에는 관람객의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이 곳을 찾은 관람객들은 “책으로만 보던 신라시대의 모습과 신라인의 생활모습, 문화유산을 영상을 통해 직접 볼 수 있어 즐겁다”며 “선덕여왕처럼 황룡사 9층 목탑에서 서라벌을 내려다보고 직접 거리를 걷는 것과 같은 특별한 경험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2019경주엑스포를 찾는 관람객들에게 경주타워 ‘신라천년, 미래천년’ 전시는 필수 코스로 입소문이나 미국과 캐나다, 대만 등 해외 관광객들의 발걸음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세계일보

선덕홀 옥외공간은 이번 행사를 맞아 실크로드를 테마로 한 ‘오아시스 정원’이 꾸며 졌다. 감각적으로 표현된 낙타와 야자수, 벽화 사이에 82m 높이의 투명유리를 걷는 ‘스카이 워크’는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았다.

최상층인 선덕홀에서 한층 아래로 내려오면 ‘카페선덕’이 자리하고 있다.

카페선덕은 보문단지를 내려다보는 전망과 함께 바리스타 등 숙련된 직원들이 직접 만드는 음료와 메뉴로 관람객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세계일보

영상뿐 아니라 서라벌의 모습을 미니어처로 복원하고 그 위에 AR(증강현실)기술로 월성과 황룡사, 첨성대의 설명과 신라인들의 생활상을 볼 수 있는 신라왕경AR도 관람객들의 호평이 이어졌다.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이사장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주엑스포를 넘어 경주의 랜드마크로 자리한 경주타워가 첨단기술과 접목돼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힘 있는 ‘앵커 콘텐츠’로 성장하고 있다”며 “축적된 기반시설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 관광객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만족 시킬 수 있는 역사문화 테마파크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주=장영태 기자 3678jy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