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충북도와 도교육청 전운(戰雲) 감돌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단위 양대기관 수장 상반된 교육관

미래인재육성 모델 예산 줄다리기 전망

학교용지부담금 놓고도 견해차

청주CBS 김종현 기자

노컷뉴스

김병우 충북교육감 (사진=충북도교육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엇갈리는 교육관의 수장들이 이끄는 도단위 양대 기관 사이에 또다시 전운이 감돌고 있다.

충청북도와 도교육청이 각종 교육 현안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거나 앞으로 충돌이 예상된다.

김병우 충북교육감은 6일 현재 준비중인 충북 미래인재육성 모델을 완성해 내년 1월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이시종 충북지사의 소위 명문고 육성 제안으로 논의가 시작돼 지난해 도와 도교육청이 맺은 인재육성 합의의 후속조치다.

그러나 김 교육감은 인재 육성에 대한 고민의 기회를 제공해준 이 지사에게 감사하다면서도, 도교육청이 준비하는 인재육성 방안은 도의 기대와는 간극이 상당할 것이라는 점을 암시했다.

김 교육감은 "지사님은 종래의 인재관을 바탕으로 한 명문고를 기대하셨기 때문에, 지사님이 기대했던 방향과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오로지 명문고에만 관심을 둔 도의 인재육성관을 에둘러 꼬집는 동시에, 모든 학생을 인재로 길러내겠다는 것이 도교육청의 방향이라는 점을 미리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교육청은 인재육성 모델이 마련되면 예산 등 각종 지원을 도에 요청할 예정인데, 도는 벌써부터 손사래를 치고 있다.

이 같은 마찰은 양 기관 수장들의 180도 다른 교육관에서 일찌감치 예견됐다.

일례로 최근 정부의 대입 정시확대 방침에 대해 이 지사와 김 교육감은 상반된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김 교육감은 정부 정시확대 방침에 대해 "정치적 판단이 백년지대계인 국가 교육을 망치고 있다"며 "지금 정부가 펼쳐오던 혁신방향과도 맞지 않고 보수정부에서 취하던 수시 확대까지 거꾸로 돌리는 것이어서 당혹스럽다"고 비판했다.

이에 반해 이 지사는 최근 CBS와 만난자리에서 "개천에서 용날 기회가 없는 요즘, 정시 확대 방침은 이번 정부가 한 일 중 가장 잘한 일로 생각된다"고 말한 바 있다.

도와 도교육청은 최근 학교 용지부담금 문제로도 마찰을 빚고 있다.

도의 미납 학교 용지부담금 가운데 서로 주고 받기로 합의한 액수를 뺀 123억 원을 놓고, 도교육청은 모두 받아야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도는 도교육청이 개발사업자에게 도의 학교 용지부담금에 상응하는 학교 시설비를 기부채납 받은만큼 도의 학교용지부담금에서 빼야 한다고 주장하며 맞서는 등 갈등을 빚고 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