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대구, 공공기관·대학 융합형 인재 육성 ‘맞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계 포함 27곳 참여 업무협약 / 대학 5곳, 맞춤 교육과정 개발 / 공공기관 등은 실습 기회 제공 / 市, 장학금 등 행정·재정적 지원 “취업으로 연결 지역발전 견인”

대구로 이전한 공공기관 및 지역 대학이 지방자치단체, 산업계 등과 머리를 맞대고 기술을 갖춘 ‘융합형 인재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일자리를 찾아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떠나는 ‘청년 유출’을 막고, 우수 인력의 역내 유입 등을 촉진하기 위한 ‘지역 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대구시는 23일 오후 시청에서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업무 협약을 했다고 밝혔다.

협약에는 지난 7월 교육부의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공모에 선정된 경북대·한동대 등 대구·경북권 대학 5곳, 한국가스공사·신용보증기금 등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10곳, 대구시·대구도시철도공사 등 시 산하 공공기관 9곳, 대경ICT(정보통신기술)산업협회·IT(정보기술)여성기업인협회 영남지회 등 산업계까지 총 27개 기관이 참여했다.

지역 대학은 상호 협력해 공공기관과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는 소프트웨어(SW) 융합인재 양성(HUB-SPOKE 4.0)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하기로 했다. 김상동 경북대 총장은 “정치·미술·심리에도 SW를 접목하는 등 이공계와 인문계 연계·융합전공 프로그램이 SW융합 인재 양성 모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공기관과 산업계는 수요 인력에 대한 직무능력 관련 정보를 대학에 제시하는 것은 물론 현장실습 기회를 제공해 지역인재 채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맞춤형 강사, 현장교육·실습 지원, 기업 맞춤형 커리큘럼 설계, 겸임교수 파견, 지역인재 채용목표제 연계 등도 실시한다.

대구시는 지역대학 역량 강화, 공공기관 발전 및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해 우수 입학 자원 유치와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금 지급, 지역 정주 여건 조성, 지역 대학 협력관 파견 확대 등 행정·재정적 지원을 하기로 약속했다.

‘지역 선도대학 육성사업’은 지방대학이 해당 지자체, 공공기관, 산업계와 협력해 대학과 지역사회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국가 프로젝트다. 사업 기간은 2024년 2월까지다. 지원 예산은 11억500만원이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들은 대구 동구 신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률을 2024년까지 45% 이상 끌어올린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지난해 기준 대구 혁신도시의 이전 공공기관별 지역인재 채용률은 27.7%에 그쳤다.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은 개정 혁신도시법에 따라 2022년까지 지역 인재를 30% 이상 의무적으로 채용해야 한다.

이상길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대학과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인재를 양성하고 취업으로 연결시켜 지역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김덕용 기자 kimdy@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