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LG화학, 국내 배터리업계 첫 RMI 가입…RMI는 무엇?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RMI는 세계 4대 분쟁광물 등 '생산과정' 추적

4대 분쟁광물은 생산과정에서 환경오염, 아동인권 문제 발생

RMI 기업이 직접 생산자 감시하는 등 윤리적 생산 협력

CBS노컷뉴스 송영훈 기자

노컷뉴스

탄탈륨 괴(사진=연합뉴스)


LG화학이 국내 배터리 업계로는 처음으로 RMI에 가입했다. '책임 있는 광물 조달 및 공급망 관리를 위한 연합'으로 불리는 RMI는 전 세계 주요 대기업이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는 국제 조직이다.

LG화학은 21일,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RMI(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RMI는 '지구 4대 분쟁 광물'을 포함해 코발트 등 배터리 원재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08년 설립됐다.

4대 분쟁 광물은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등 분쟁 지역에서 채굴되는 ▲금과 ▲주석, ▲탄탈륨, ▲텅스텐을 말한다.

이러한 4대 분쟁 광물과 코발트 등 희소성이 높은 광물은 주로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등지에서 채굴 중이며 이 과정에서 환경 오염, 아동 인권 등 각종 사회적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코발트의 경우 스마트폰과 전기자동차 배터리 등의 필수 원재료로 떠오르면서 최근 수요가 급증했다. 이에 채굴, 생산과정에서 아동 노동과 같은 인권 침해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국제적 문제로 떠오른 광물이다.

이에 RMI는 이러한 4대 분쟁 광물과 코발트 등 배터리 원재료의 원산지를 추적 조사하고 생산업체에 대한 감시를 진행한다.

RMI는 고위험 광물에 대한 원산지 추적, 생산업체 감시활동으로 분쟁으로 인한 조달 위험성 파악과 함께 채굴 과정에서 인권,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에 나선다.

현재 폭스바겐과 르노, 애플 등 글로벌 자동차 및 IT기업 380여 곳이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번 가입으로 LG화학은 RMI가 확보하고 있는 분쟁 광물, 코발트 등의 원산지, 제련소와 같은 공급망 정보를 받는다.

또 RMI 협의체에 가입한 글로벌 기업과 공급망 내 사회적, 환경적 이슈 해결을 위한 공조 체계를 구축한다.

실제로 RMI 회원사들은 매년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를 주제로 한 정례 회의를 열고 공급망 관리가 취약한 고위험 협력사에 대해선 개선 활동을 진행한다.

LG화학은 "이러한 공급망 정보 체계 및 공조 시스템을 바탕으로 자체 공급망 실사 및 협력 업체 개선 활동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LG화학 신학철 부회장은 "기업의 핵심 경쟁력은 '지속가능성'에 달려 있다"며 "환경 및 인권을 고려한 투명한 공급망은 LG화학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필수요소"라고 말했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고위험 광물의 윤리적 구매 등 기업의 책임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LG화학도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RMI에 가입한 것이다.

유럽연합도 2021년부터 분쟁광물 등 고위험군 광물에 대한 지속가능한 구매와 공급망 관리를 의무화한 OECD 공급망 가이드를 법제화할 계획이다.

이에 글로벌 자동차업체도 코발트를 비롯한 원재료에 대한 투명한 공급망 정보 공개 및 제3자 실사 등을 요구하고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업체 폭스바겐 그룹은 지난 7월부터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 등급제(Sustainability rating)'을 도입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