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제약바이오협회, 유럽 시장 교두보 '영국'과 산업 교류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제약바이오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케임브리지·옥스퍼드·런던을 잇는 ‘골든 트라이앵글’은 영국에 국한하지 않고 유럽 전역에서 뛰어난 바이오 클러스터다. 한국 제약산업이 유럽에 진출하는 교두보가 될 것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필 잭슨 메드시티 프로젝트 디렉터가 지난 14일 서울 방배동 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한-영 생명과학 심포지엄’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메드시티는 영국 런던시와 잉글랜드 고등교육기금위원회, 임페리얼 등 런던 소재 3개 대학 등이 공동 설립한 영국 동남지역의 대표적인 바이오 클러스터다. 협회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유럽 등 선진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메드시티를 비롯한 영국 기업들과 직접 교류할 수 있는 심포지엄을 마련했다.

이날 필 잭슨 디렉터는 메드시티와 영국 제약바이오산업 현황 관련 발표에서 "메드시티는 세포·유전자·재생의료분야 등 첨단의료제품 개발과 투자유치부터 상업화까지 지원한다"며 "엔젤 인 메드시티(Angle in Medcity)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자와 투자자 간 협력 네트워크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혁신 기술 상업화를 중점 지원, 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한다"고 강조했다.

허경화 제약바이오협회 부회장은 "한국은 의약품상호실사협력기구에 가입했고 EU 화이트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는 등 국제 수준 의약품 품질을 인정받았다. 아시아태평양(APEC) 시장에서도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며 "영국도 한국 제약바이오산업과 협력을 통해 아태시장 진출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행사에서는 영국 제약바이오 관련 주요 기관, 대학, 기업이 지닌 역량과 협력 사업 모델이 제시됐다. 바츠생명과학연구소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 연구소는 임상 또는 실험 모델을 통해 질병 진단‧예방‧치료 기술의 생물학적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Bench to Bedside)에 집중, 연구소와 산업계 간 공동 연구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공동연구 참여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발표 이후에는 행사에 참여한 종근당, 일동제약, 셀루메드 등 국내 기업들과 영국 제약바이오 기관, 대학, 기업 간 네트워킹을 진행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이번 심포지엄 이후에도 영국 등 유럽시장 진출을 위한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내달 14일에는 ‘영국 제약·바이오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GOI)’ 사절단을 파견해 유럽 최대 바이오행사인 ‘바이오 유럽 2019’에 참석, 이튿날부터 케임브리지 밀너컨소시엄 및 사이언스파크 등 현장을 돌아볼 계획이다.

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협회는 유럽 선진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우수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유럽 현지 제약바이오기업, 연구기관 등과 국내 업계 간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협력을 지원한다"며 "강력한 산·학·연·정 협력에 기반한 사례를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윤서 기자(panda@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