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경기도, '4차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 수립...2022년까지 5대 전략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경기도청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산업경쟁력 강화와 도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경기도 차원 대응전략이 마련됐다. 도는 '경기도 4차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 2022년까지 5대 전략을 추진한다.

이번 기본계획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을 통한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과학기술이 '인간을 위한 기술'이 될 수 있도록 도 차원의 체계적 대책이 필요한데 따라 수립됐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해 11월 '경기도 4차산업혁명 촉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법적근거 마련, 올해 2월 출범한 '경기도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통해 기본계획에 담을 대표과제를 발굴해왔다.

이재명 지사는 올해 2월 4차산업혁명위원회 출범식에서 “4차 산업혁명 핵심은 인간을 위한 기술, 함께하는 미래, 삶의 질을 높이는 혁신”이라며 “새로운 기술이 특정 소수 이익을 추구하는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기본계획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도민이 행복한 경기도' 실현을 목표로 △도민과 함께하는 미래사회 △미래산업 기반구축 △도민체감형 혁신서비스 확산 △미래기술 소외계층 적응지원 △공정경제 생태계 구축 등 5대 전략 17개 이행과제가 담겼다.

이에 따라 도는 로봇·드론,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팩토리 분야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하고 농수산업, 물류와 항만, 교통수단 분야 지능화를 꾀한다. 4차 산업혁명 추진을 위한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해 혁신창업 활성화와 고급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방침이다.

신기술 창출이 소수 이익을 추구하는 수단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한다. 노동자 권익 향상과 데이터 공공성 강화를 통해 4차 산업혁명 혜택이 고루 퍼져 나가는 '공정경제 생태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도비기준으로 67개 사업에 1230억원 예산을 편성했다. 내년에는 82개 사업에 1340억원 규모 예산을 편성할 예정이다.

공정식 미래산업과장은 “이번에 수립된 '경기도 4차산업혁명 촉진 기본계획'을 토대로 워킹그룹 토의 등을 통해 구체화해 실행할 계획”라며 “앞으로 경기도 4차산업혁명이 잘 추진될 수 있도록 도민 협조와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김정희기자 jhak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