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북도, 방위산업용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공급망 강화 나선다…2028년까지 국비 100억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북도가 최근 방위산업용 시스템반도체 소재·부품의 자립과 공급망 강화를 위한 산업통상자원부 '2024년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4년간 10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국방용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에 나선다.

방위산업용 시스템 반도체는 무기체계, 전자전 등 국방산업의 첨단화를 위해 설계·제조된 반도체다. 군사 목적으로 운용되는 각종 장비·모듈·부품 등에 사용된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등에서 보인 유도무기, 드론 등과 같은 첨단 무기체계의 핵심 부품이다.

전자신문

경북도가 산업혁신기반 구축사업 공모에 선정돼 올해부터 2028년까지 10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방위산업용 시스템 반도체 국산화 및 공급망 강화에 나선다. 왼쪽부터 복합대공화기, 장거리급 지대공 유도무기, 중거리 공대지 유도무기 [출처:LIG넥스원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무기체계에 사용되는 국방용 반도체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산화 기술개발이 시급하지만 다품종 소량 생산 특징과 높은 신뢰성이 요구됨에 따라 시장 진입장벽이 높다.

도는 이번 공모 사업 선정으로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국비 100억원을 지원받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나노융합기술원, 구미전자정보기술원 등 각 분야 기관들과 함께 국방용 반도체 부품에 대한 설계·제조·패키징·모듈화·신뢰성 평가 등 전주기적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정우 경북도 메타버스과학국장은 “구미는 SK실트론과 KEC 등 다수의 전력반도체 소재기업이 위치하고 있어 국방용 반도체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데 최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면서, “수입에 의존했던 국내 첨단 방위산업용 반도체의 국산화를 통해 향후 기술 수출도 가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구미=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