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직원이 충북 청주 오창읍에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배터리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 LG화학]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LG화학은 14일 ESS 화재 확산을 막는 제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 ESS 화재의 원인에 대해서는 규명 작업을 연말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LG화학이 준비 중인 ESS 화재 확산 방지 신제품은 현재 국제인증을 시험 통과했다. LG화학은 신제품에 대한 추가 시험이 마무리되면 이를 실제 적용할 계획이다. 현재 운영 중인 ESS에는 외부의 전기충격으로부터 ESS 안의 배터리를 보호하는 ‘두꺼비집’(누전차단기) 역할을 하는 모듈 퓨즈·랙 퓨즈 등의 장치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또 ESS에 절연에 이상이 생기면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인 IMD(Insulation Monitoring Device)를 설치해 ESS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LG화학 관계자는 “기존 ESS에는 이미 교체를 마쳤고, 새로 만들 ESS에도 필수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계속되는 ESS(태양광 발전설비 저장소) 화재 사고.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명확한 ESS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가운데 LG화학은 ESS 안의 블랙박스 격인 ‘파이어프루프(내화) 하드디스크’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LG화학 관계자는 “화재가 발생해도 관련 기록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드디스크를 보호하는 장치를 설치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의 화재를 막기 위해 LG화학은 ESS 설치 업체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나가겠다고도 밝혔다. 화재 원인 가운데 하나로 추정됐던 소프트웨어는 업데이트를 통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LG화학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화재 원인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선제 조치로 2017년 남경산 배터리 등은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70%로 제한가동 중”이라며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 가혹한 환경에서의 시험 등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14일 오전 서울 중구 삼성본관에서 열린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전성 강화 대책 설명회에서 허은기 삼성SDI 전무가 ESS 모듈과 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SDI는 ESS 시스템 내에 발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화재로 확산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개발해 신규로 판매하는 시스템에 전면 도입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앞서 이날 삼성SDI는 ESS에서 발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화재로 이어지지 않게 하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전면 도입하는 등의 안전 대책을 발표했다. 삼성 SDI는 이달부터 신규 ESS에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해 출시하고, 기존 ESS에는 회사가 1500억~2000억원을 들여 시스템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