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국내 증권사들이 기존 브로커리지 부문 외에 IB, 자기자본투자(PI), 채권 등 사업 다각화에 공을 들이면서 자산관리(WM)의 중요성 또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WM 부문을 확대 개편하는 한편 은행과의 연계를 통한 토탈 서비스까지 선보이는 등 고객 유치에 사활을 걸면서 고객들과 직접 접하고 소통하는 PB 양성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는 모양새다.
|
2위는 10억4200만원을 지급받은 이동률 신한금융투자 영업고문(PB), 3위는 9억1600만원의 정영희 미래에셋대우 테헤란밸리WM PB가 이름을 올렸다. 최근 주요 먹거리로 떠오른 IB 부문에서 고액보수 수령자 대부분을 배출했지만, WM 내 PB 인력들도 전체의 10% 가량 차지하며 시장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처럼 주요 PB들이 높은 성과보수를 받는 것은 WM사업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자산 규모가 큰 고객일수록 우수한 인력을 보유한 금융회사를 선호하기 마련이다. 업계에서도 고액자산가 비중이 곧 그 회사의 역량을 나타내는 바로미터가 되기도 한다.
이를 반영하듯 증권사들도 우수 PB 영입은 물론 양성에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자기자본 1위 미래에셋대우는 경쟁력 있는 PB를 예우하는 마스터 PB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2년간 관리자산 300억원, 연수익 7억원 이상을 유지하는 PB는 마스터 PB로 선정된다. 이 중 관리자산 1000억원, 연수익 10억원 이상을 달성한 PB에게는 그랜드마스터PB가 부여된다. 미래에셋대우의 경우 영업점 성과를 평가해 성과급을 지급하고, 지점장이 소속 직원을 평가해 성과급을 분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PB별 경쟁 역시 매우 치열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NH투자증권은 PB 역량 강화를 위한 ‘NH 마스터(Master) PB’를 선보였다. 기존 정형화된 커리큘럼에서 벗어나 실전 중심의 역량 개발 극대화를 통해 시장을 이끌 만한 우수 PB 양성을 목표로 운영된다. 특히 올해 새롭게 공개한 ‘투자, 문화가 되다’ 슬로건의 일환으로 WM 영업직원 평가방식을 재무적 성과 중심에서 고객가치를 중시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변경하는 등 WM사업부 반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법인 전담 PB를 육성하는 증권사도 존재한다.
한국투자증권은 올해초부터 WM전략부에 법인영업부를 신설하고 법인 및 기업 오너, 대주주, 최고경영자(CEO) 등을 관리하는 전담 PB를 두고 있다.
또 전국 9곳에 법인특화점포를 운영하는 한편 법인 전담 PB 점포인 법인금융센터를 신설하기도 했다. 아울러 여기에 소속된 법인특화팀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투자금융 관련 교육 또한 함께 진행중이다.
이 밖에 탄탄한 거액자산가 네트워크를 보유한 신한금융투자는 지난해 온라인으로 다양한 분야를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S-Hub’를 오픈하고 직원들의 업무 역량 확대를 꾀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 업무별 자기주도 학습 조직인 CoP(Community of Practice)를 통해 직원들의 경력 개발을 적극 지원하는 것은 물론 전문인력 양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각 지점에서 도제식으로 이뤄지던 PB 육성이 기술 발전에 의해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연차에 얽매이지 않고 오로지 실적으로 평가받는 업무 특성상 PB 직종의 인기는 꾸준히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mkim04@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