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사설] 이 총리의 日王 즉위식 참석, 한·일은 이번 기회 놓치지 말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나루히토 일왕의 즉위식 참석을 위해 정부 대표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한다. 아베 총리와 별도의 양자 회담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한다. 회담이 성사되면 한·일 관계가 얼어붙은 지난해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1년여 만에 양국 최고위급이 대화를 갖는 것이다.

양국 관계는 일본의 수출 규제, 한국의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파기 선언까지 악화일로를 달려왔다. 예정대로 법원이 연내에 징용 배상 관련 일본 기업 압류 자산의 현금화를 결정하면 양국 관계는 헤어나오기 힘든 수렁으로 빠져들게 된다. 지소미아도 11월 하순이면 종료가 최종 확정된다. 격동하는 동북아 정세에서 한·미·일 공조의 균열로 자칫 한국만 외톨이가 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크다. 양국 감정의 골은 깊어졌고 상호 방문 관광객 급감 등 서로 피해를 키우고 있다.

일왕 즉위식은 얽힌 한·일 관계 실타래를 풀어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우리 정부도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는 등 기대감을 내비쳐왔다. 30년 만에 열리는 국가적 경사를 앞두고 일본도 들떠 있다고 한다. '지일파'로 꼽히는 이 총리가 참석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관계 개선의 의지를 내비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갈등의 근원인 강제징용 배상 판결 해법에 대한 한·일 시각차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낙관은 이르다. 아베 총리는 한·일 관계를 되돌릴 계기를 "한국이 우선 만들라"고 하고 있고, 한국 정부 역시 일본의 변화를 먼저 요구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방일하지 않는 점을 들어 큰 기대를 하기 어렵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일 양국은 지정학적 숙명으로 엮여 있으면서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이웃이다. 관계 회복이 늦춰지면 양국 모두 패자가 될 수 있다. 두 나라가 비정상적 상황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