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은 한글날을 맞아 꼭 가려 써야 할 일본어 투 용어 50개를 골라서 발표했다. 국어원이 2005년 제작한 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에 실린 단어 1천100여개 가운데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사용 빈도가 높은 표현이라고 한다. 구좌(계좌), 가불(선지급), 잔고(잔액), 고참(선임) 등이 대표적이다. 나와바리(구역), 단도리(단속·채비)), 땡땡이(물방울), 만땅(가득), 망년회(송년회), 분빠이(각자 내기), 아나고(붕장어), 무데뽀(막무가내), 쇼부(결판), 와사비(고추냉이), 종지부(마침표) 등도 순화 대상으로 꼽힌다. 일본어 투인지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알고 있어도 무의식적으로 또는 별생각 없이 재미로 쓸 수도 있다. 과거 일제 강점기를 거친 역사도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다. 하지만 변명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흘렀다. 개인, 기관, 국가 할 것 없이 모두의 책무이다. 매일 독자와 시청자를 만나는 언론 매체의 책임도 적지 않다. 일상 언어의 특성상 인위적으로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바로잡는 노력은 늘 절실하다.
한글박물관과 경기도의 사례를 보면, 맵시 있는 우리말이 얼마든지 있는데도 누구보다도 한글을 지키고 가꿔야 할 공공 기관이 한 일이라고는 믿기지 않는다. 고치려는 노력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줄곧 있었다.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게 문제이다. 경기도는 올해 초 잘못된 행정용어와 정책명을 순화하는 계획을 마련한 바 있다. 행정안전부는 각 지자체 자치법규에 포함된 어려운 한자어를 이해하기 쉽게 바꾸기로 했고 정비 대상 용어 27개를 뽑았다. 국어원은 국회사무처, 법제처와 '알기 쉬운 법률 만들기' 업무협약을 했다. 한 홈쇼핑 업체는 언어 사용 지침서를 국어원과 공동 발간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한글날 경축식에서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을 줄이고 전문용어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야 한다며 언론과 학교, 정부의 노력을 당부했다. 노력은 이어지겠지만 일회성 보여주기 정책이나 홍보에 그친다면 제자리걸음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관계 기관의 끊임없는 교육과 홍보에 언어 구사자 개개인의 노력까지 보태져야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