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박미산의마음을여는시] 호박 그 자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광규

뒷산에서 자란 호박 덩굴이 옆집

담을 넘어 들어오더니 밤나무를 타고 올라가

나뭇가지 끝에 연두색 호박을 매달아 놓았다

호박은 공중에서 하루하루가 다르게 커졌다

밖에서 담을 넘어 들어왔으니

옆집에서 심은 것은 아니지…

그러니까 긴 골프우산 손잡이를 담 너머로 뻗쳐서

호박을 끌어다가 따 먹을 수도 있는 거야

하지만 누구에게 들키지 않는다 해도

시쳇말로 다툼의 여지는 있겠지 이를테면

옆집 영감이 투덜거리는 소리를 피할 수 없을 걸

요즘도 호박 도둑이

있는 모양이여…

늦장마 지나가고 매미와 풀벌레 소리 요란한

오늘도 옆집 밤나무 가지에 매달린 호박을

바라본다 따먹고 싶은 욕심일랑

몽땅 버리고

짙푸르게 익어가는 호박 그 자체만 바라볼 수는 없을까

가을이 가버리기 전에 그렇게 될 수 있을까

세계일보

오성 이항복이 생각나는 시이다.

시인은 뒷산에서 자란 호박 덩굴이 옆집 담을 넘어 들어오더니

밤나무를 타고 올라가 나뭇가지 끝에 연두색 호박을 매달아 놓은 걸 바라본다.

시인은 무럭무럭 자라는 호박을 보며 갈등한다.

옆집에서 심은 것이 아니니 담 너머로 긴 골프우산 손잡이를 뻗쳐서

호박을 따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공자는 욕심이 지나치면 화를 부른다고 했다.

건전한 욕망은 아무리 많이 가져도 부족하지만,

그 욕망이 도를 넘어선 과욕일 때는 문제가 심각하다.

탐욕으로 삶이 망가지는 사람들을 우리는 수없이 보았다.

우리는 욕심을 버리고 짙푸르게 익어가는 호박 그 자체만을 바라보자.

이 가을이 가버리기 전에.

박미산 시인, 그림=원은희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