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연쇄살인사건을 포함한 14건의 살인과 30여건의 강간·미수 사건. 화성사건의 유력한 용의자 이춘재씨(56)가 경찰에 자백한 범죄 횟수다. 이씨는 군대에서 전역한 1986년 1월부터 처제를 성폭행하고 살해해 검거된 1994년 1월까지 8년 사이에 무려 40여건에 이르는 강력범죄를 저지른 것이다.
이토록 장기간동안 범행을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이씨는 화성사건의 7차 사건과 9차 사건 사이(8차 사건은 모방범죄)인 1989년 9월26일 벌인 강도미수 건으로 경찰에 붙잡혀 200일 동안 구금됐던 사실을 제외하면 단 한번도 경찰에 붙잡히지 않았다.
이씨가 번번이 수사망을 빠져나갈 수 있었던 이유로는 먼저 화성사건의 경우 족적(발자국)과 혈액형이 꼽힌다. 이씨는 6차 사건 이후 주민 제보 등을 토대로 화성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여겨졌고 이같은 사실은 당시 경찰 지휘부에 보고까지 됐다. 그러나 6차 사건 현장에서 확보한 범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족적과 이씨의 것이 일치하지 않았다.
경찰은 6차 사건때 비가 많이 온 점에 착안해 현장에서 확보한 245㎜의 족적이 실제보다 축소됐을 것으로 예상, 255㎜로 범인의 족적을 계산한 뒤 수사에 활용했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이씨는 이후에도 화성사건으로 2차례 더 조사를 받았지만 결국 풀려났다. 이때는 9, 10차 사건이 벌어진 시기로 경찰은 이들 사건의 증거물에서 확보한 범인의 체액을 분석해 범인의 혈액형을 B형으로 판단했지만 이씨는 O형인 탓에 또다시 자유의 몸이 됐다. 당시 혈액형 분석이 왜 틀렸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이 세번의 천금 같은 기회를 놓치면서 이씨가 추가 살인을 저지르는 원인을 제공한 셈이다. 이에대해 경찰은 이씨가 어떻게 경찰 수사망을 피해 계속 범행을 저질렀는지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
이씨가 자백한 화성사건외 5건의 살인사건도 경찰이 자백의 신빙성을 검증해야 한다는 이유로 구체적인 언급을 꺼리고 있다. 다만 이 5건의 살인사건 가운데 1건으로 추정되는 수원 여고생 살해사건을 보면 당시 경찰의 부실 수사도 이씨의 범행이 30여년 동안 드러나지 않은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건은 1987년 12월 24일 여고생이 어머니와 다투고 외출한 뒤 실종됐다가 열흘가량 뒤인 1988년 1월 4일 수원에서 속옷으로 재갈이 물리고 손이 결박된 상태로 숨진채 발견된 사건이다.
이 사건은 범인이 피해자를 결박하는 데에 속옷을 사용했다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화성사건의 ‘시그니처(범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성취하기 위해 저지르는 행위)’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이 씨가 자백한 살인사건 가운데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이 사건은 화성사건이 한창 벌어지던 시기에 발생했다. 6차 사건과 7차 사건 사이다. 그런데도 경찰은 수원에서 발생했다는 이유로 화성사건과 연관 짓지 않았고 이씨가 아닌 다른 용의자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담당 형사가 마구 폭행해 이 용의자를 숨지게 하면서 수사가 흐지부지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이씨의 치밀한 범행 수법까지 더해져 이씨는 15번째 살인 피해자가 발생한 뒤에야 단지 이 피해자 1명을 살해한 혐의로 수사기관에 붙잡혔다. 마지막 피해자인 이 피해자는 이씨의 처제로 그는 1994년 1월 충북 청주 자신의 집에서 처제를 성폭행하고 둔기로 수차례 때려 살해했다. 이 사건을 수사한 경찰 관계자는 “이씨는 범행을 저지르고 밤을 새워 증거물을 치웠다”며 “현장 감식 과정에서 가까스로 화장실 문고리와 세탁기 밑 장판에서 피해자의 혈흔을 발견해 다행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이씨의 혐의를 밝혀내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이씨를 수사 중인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당시 이씨가 어떻게 경찰의 수사망을 따돌렸는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아직 그 부분에 대해 진술을 받거나 확인한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최인진 기자 ijchoi@kyunghyang.com
▶ 최신 뉴스 ▶ 두고 두고 읽는 뉴스 ▶ 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