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DLF 파국' 고객에 떠넘긴 위험…서명 대필에 의견 조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외국 금리에 연계된 상품에 투자했다가 피해 본 사람이 늘면서 그 문제가 커지고 있습니다. 조사 결과 은행들이 투자자의 서명을 제대로 받지 않은 건 물론이고, 내부 심의 기록까지 조작해 가며 상품을 팔아온 걸로 드러났습니다.

한승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기 상품 판매한 은행을 규탄한다! 규탄한다! 규탄한다!]

61살 김 모 씨는 외국 금리에 연동된 파생상품 펀드, DLF에 4억 2천만 원을 투자했다가 원금 절반을 날렸습니다.

[김 모 씨/DLF 투자자 : 금리가 올라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손실 볼 일이 없다, 이자가 더 많으니까 이게 좋지 않느냐 (권유해서 가입했습니다.)]

9월 25일 기준 DLF 잔액은 6,723억 원으로, 예상 손실액은 3,513억 원에 이릅니다.

손실률이 52.3%로 투자액 절반 이상을 날린 겁니다.

60대 이상 고령 투자자가 48.4%로 절반에 육박합니다.

금감원 검사에 따르면 상품 설계와 판매를 주도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원금 손실 가능성을 고객들에게 거의 알리지 않았습니다.

설명을 듣고 이해했다는 내용으로 받아야 하는 투자자 자필 서명을 직원이 대필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불완전 판매 비율은 전체의 20%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고위험 상품을 출시할 때 열게 돼 있는 은행 내부 위원회는 100건 중 1건도 제대로 거치지 않았고 그나마 열린 위원회에서는 심사 거부한 위원의 의견을 찬성으로 조작하기도 했습니다.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입었는데 금융회사들은 수수료를 꼬박꼬박 챙겼습니다.

[원승연/금융감독원 부원장 : 금융회사가 받은 수수료의 합계는 4.93%로 투자자가 얻는 약정수익률 2.02%보다 2.4배 높았습니다.]

금감원은 추가 검사 결과에 따라 경영진의 책임도 물을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주 범, 영상편집 : 박진훈)
한승구 기자(likehan9@sbs.co.kr)

▶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 [제보하기] 모든 순간이 뉴스가 됩니다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