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당국 정밀검사 불충분 판명…돼지열병 대응 더 강화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인터뷰

"국제기준 따르고 있지만 대응 강화해야" 조언

"3~5차, 차량감염 확률 높아…1~2차는 북한發 일수도"

이데일리

24일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축이 신고된 인천 강화군 돼지농가 앞에 통제문이 세워져 있다. (사진 = 뉴시스 제공)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5차 확진 판정까지 확산하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응에 있어서 우리 정부가 지금보다는 한층 강화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는 25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 출연, “1, 2차 ASF 확진 판정 이후에 1주일 지나 3~5차까지 확진 판정이 나오면서 이것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가지는 건 타당해 보인다”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현재 3~5차 확진의 경우 차량에 의한 확산일 확률이 가장 높다”고 인정하면서도 “좀더 지켜볼 여지는 있다”고 말했다. 우 교수는 “최근 발견된 강화군 등 사례를 보면 발병지역 모두가 접경지역인데 이것이 차량에 의한 것이라면 접경지역 외에서도 나타나야 하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며 “역학적으로 조사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지만 아직까지는 북한으로부터의 유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라고 해석했다. 이어 “첫 ASF 발생 때부터 본다면 태풍 `링링`에 의해 전역이 ASF로 오염돼 초토화된 북한으로부터 오염물질이 남쪽으로 전파됐을 수 있다”고도 했다.

우 교수는 “현재까지 우리 정부 대응을 보면 국제기준에 따라 제대로 하고 있지만 확산 추이를 봐서는 좀더 강화해서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김포에서 ASF가 발생한 농가는 앞서 정밀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던 곳인 만큼 당국의 정밀검사가 충분치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정밀검사는 의심있는 지역의 돼지를 표본으로 조사하는데 이렇다면 연관된 의심 농장 등에 대한 검사에서 표본수를 크게 늘려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우 교수는 “공장식 밀집 사육이나 다른 나라 질병이 넘어오는 것은 국제적 추세”라며 “과거와 달리 보다 체계적이고 많은 인원을 가진 대응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사회적 재난으로 퍼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