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 연휴에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 플랫폼에서 귀성객들이 열차에 오르고 있다./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유재희 기자(세종) = 경기부진 속에서 내수가 활력을 잃으면서 추석 특수에도 썰렁한 분위기가 연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12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이어진 경기불황과 더불어 소득증가도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실제로 광의의 소득지표인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올 1분기에 전분기대비 0.3% 감소한데 이어 2분기엔 0.2% 증가하는데 그쳤다. 사실상 제자리걸음 또는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4분기 GNI가 전분기와 같았던 것(0.0%)을 감안하면 지난해 후반부터 1년 가까이 소득이 정체한 셈이다.
추석을 앞두고 있지만, 임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고심하는 이들도 있다. 실제로 올해 들어서도 체불임금은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7월까지 임금체불 노동자는 20만6775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받지 못한 체불 임금액은 같은 기간 1조112억원에 달했다.
특히 업종별로 체불 현황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3324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건설업 1871억원 △기타 1554억원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1408억원 △금융·보험·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1091억원 등이다.
체불임금 규모는 최근 수년새 매년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체불임근은 1조 6472억원으로 기록을 또다시 넘어섰다. 지난해 임금체불 노동자도 35만명에 달한다. 올해도 이같은 추세라면 체불임금 규모가 연간기준 작년 기록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소비도 급격히 약화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는 지난달 92.5로 기준치(100)를 크게 밑돌며 2년 7개월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지난해 말 이후 수출과 투자가 동반 감소세를 보이며 경제활력이 크게 떨어진 가운데 추석 특수가 반영돼도 소비심리가 크게 살아나기 어려워 보인다.
아울러 올해 추석 연휴기간이 줄어드는 등 요인도 추석 특수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38개사를 대상으로 추석연휴 실태조사를 한 결과 올 추석의 휴무일수도 평년 대비 짧아졌다. 기업들의 휴무일수는 평균 4일로 나타났다. 이는 토요일과 대체공휴일이 꼈던 지난해 평균 휴무일 4.6일에 비해 짧아졌다.
아울러 경기가 어려워 지면서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도 줄었다.
추석 상여금을 줄 계획이라는 기업의 비율은 65.4%로 작년보다 4.8%포인트 하락했다. 300인 이상은 71.3%, 300인 미만은 63.8%로 1년 전보다 각각 1.9%포인트, 5.6%포인트 감소했다.
만일 추석 명절 이후에도 소비심리가 내리막을 걸을 경우 저물가 기조가 장기화되는 ‘디플레이션’ 징후에 대한 우려가 더욱 짙어질 수 있다.
저물가를 두고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주머니 사정을 우려해 반길 수 있지만,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활력을 빼앗고 결국에는 고사시킨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경기부진을 동반환 가격 하락은 생산 위축, 고용 감소와 임금 하락, 실업과 소득 감소,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 감소, 추가적인 가격 하락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