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내 거주하는 다문화 가구원이 1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2018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다문화 가구는 33만 5천 가구로, 가구원은 100만 9천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문화 가구원은 총인구 5,136만 명에서 2%를 차지했습니다.
가구 수는 지난 2017년 31만 9천 가구보다 1만 6천 가구 늘었고, 가구원 수는 96만 4천 명에서 5만 명 증가했습니다.
가구원이란 한 가구에서 함께 사는 모든 구성원을 말하는 것으로 먼 친척, 친구, 가사도우미, 종업원 등 가족이 아닌 사람도 함께 살면 가구원에 포함하고, 조사기준 시점 이전에 태어난 아이와 이후에 사망한 사람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한편, 통계청이 분류하는 다문화 가구는 귀화자가 있는 가구, 외국인이 한국인 배우자와 혼인해 이뤄진 가구, 귀화 내국인으로 구성된 가구, 내국인과 다문화 자녀로 구성된 가구, 귀화 내국인과 결혼이민자 외국인으로 구성된 가구 등입니다.
국내 다문화 가구원이 100만 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 2015년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해당 항목을 집계한 이후 처음입니다.
등록센서스란 전국의 모든 가구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주민등록부 등의 행정자료를 이용해 인구·가구·주택에 대한 통계를 생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국내 다문화 가구원은 지난 2015년 88만 8천 명(29만 9천 가구), 2016년 96만 3천 명(31만 6천 가구)이었습니다.
다문화 가구 내 다문화 대상자(귀화자+아직 한국 국적을 얻지 않은 결혼이민자)는 총 34만 1천 명으로 이 가운데 귀화자가 17만 5천 명, 결혼이민자가 16만 6천 명으로 비슷합니다.
이들의 과거 또는 현재 국적은 한국계 중국 11만 9천 명(34.9%), 베트남 7만 2천 명(21%), 중국 6만 8천 명(19.9%)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어 필리핀(1만 9천 명·5.6%), 일본(1만 2천 명·3.6%), 미국(8천 명·2.4%) 등이었습니다.
결혼이민자로는 베트남인이 4만 명(23.9%)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귀화자는 이전 국적이 한국계 중국인이 8만 명(47.1%)으로 다수를 차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귀화자와 결혼이민자가 경기도(10만 6천 명·31.2%), 서울(7만 4천 명·21.7%), 인천(2만 4천 명·7.1%) 등에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전체 다문화 가구원을 가구 구성유형별로 보면 내국인결혼+결혼이민자 가구원이 39만 3천 명(35%)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내국인+귀화한 내국인 가구원이 28만 5천 명(23.1%)으로 다음을 차지했습니다.
외국인 배우자가 귀화했거나 아직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가구의 가구원이 전체 다문화 가구원의 58%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귀화 내국인으로 구성된 가구의 가구원(12만 명)과 내국인과 다문화 자녀로 구성된 가구의 가구원(10만 4천 명)도 적지 않습니다.
다문화 가구 중 이혼·별거 등으로 배우자 혼자 또는 자녀들만 데리고 사는 경우도 적지 않은 셈입니다.
진송민 기자(mikegogo@sbs.co.kr)
▶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 [기사 모아보기] 조국 법무부장관 의혹 수사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