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51.6% 타격 응답
매출 -2.8%, 영업익 -1.9% 전망
대체 수입선 확보, 최우선 과제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의 수출 규제 강화로 국내 대기업의 절반 이상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대체 수입선 확보 등이 최우선 과제로 꼽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등 수출규제 영향 설문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기업의 과반수는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경영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51.6%, 영향 없음은 48.4%로 조사됐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한 국내 대기업의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2.8%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13.6%) △석유제품(-7.0%) △반도체(-6.6%) △철강제품(-3.9%) △무선통신기기(-2.7%)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매출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5.7%로, 감소폭이 두 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아울러 국내 대기업의 영업이익도 평균 1.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7.9%) △석유제품(-5.4%) △반도체(-5.1%) △디스플레이(-2.4%) △철강제품(-1.9%) 순으로 조사됐다. 악영향을 입는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하면 영업이익 감소율은 평균 3.7%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유환익 상무는 "설문조사 결과대로 영업이익이 1.9% 감소할 경우 지난해 1000대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3%임을 감안할 때, 업종에 따라 일부 기업들의 적자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대체 수입선 확보가 기업과 정부의 최우선 대응과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한·일 경제갈등 해결 위한 방안으로 '정부간 외교적 타협'을 꼽았다.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기업들의 단기적 대응방안으로는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53.7%) △대체 부품소재 물색(15.9%) △일시적 사업축소·긴축경영(8.5%)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8.0%) 순으로 조사됐다.
장기적 대응방안으로도 국내·외 대체 수입선 확보가 28.8%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다. 다음으로 △부품소재 국산화(25.0%) △대체 부품소재 확보(14.4%) △생산품목 등 제품 포트폴리오 변경(11.5%) △사업축소·긴축경영(4.8%) △생산설비 해외 이전(1.4%) △인수합병을 통한 부품소재 확보(0.5%) 순이었다.
정부의 정책지원 과제로는 △대체 수입선 확보 지원(30.9%) △부품소재 국산화 재정지원(23.9%) △피해업종 세제 혜택(23.0%) △화학물질·부품소재 규제 완화(16.6%) 순으로 조사됐다. 한·일 경제갈등 해결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40.5%) △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21.9%) △미국의 한일 간 중재(14.3%) △국제적 여론 형성(11.1%) △민간기업·경제단체 활용(6.2%) △기업자체 역량에 의한 해결(5.1%) 순으로 조사됐다.
gmin@fnnews.com 조지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