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靑·당·부처 돌아가며 "日회의"…불려다니느라 더 바쁜 기업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번 ‘일본 사태’ 아니었으면 이렇게 청와대와 자주 만나게 될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소통하는 건 좋지만 해외에서 비즈니스하는 기업이 이런 자리에 자주 나가는 건 부담스럽죠.”

14일 한 10대 그룹 임원은 최근 부쩍 잦아진 청와대와 정부ㆍ여당의 기업인 호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청와대와 정부ㆍ여당이 연일 기업인들을 불러 일본 수출규제 대책 회의를 공개적으로 소집하면서 기업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10일 문재인 대통령과 30대 기업 총수가 긴급 간담회를 연 이후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정부 내 유관부처에서 여는 각종 간담회에 기업 임원들을 지속적으로 호출하고 있어서다.

중앙일보

일본수출규제대책 민ㆍ관ㆍ정 협의회 제2차 회의가 14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박원석 정의당 정책위의장, 윤영일 평화당 정책위의장, 정진석 일본수출규제특위위원장, 김영주 한국무역협회장,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채이배 바른미래당 정책위의장,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김경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3일엔 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의 양정철 원장이 4대 그룹(삼성전자ㆍ현대자동차ㆍLGㆍSK) 산하 경제경영연구소 임원들을 국회로 불러 의견을 들었다. 같은 날 박영선 중기벤처부 장관은 소재ㆍ부품ㆍ장비 국산화를 목표로 관련 대기업(삼성전자ㆍ현대자동차ㆍLG디스플레이ㆍSK하이닉스)과 중소기업 10개사 임원들을 모아놓고 간담회를 열었다. 광복절 하루 전인 14일엔 국회에서 일본 수출규제 대책 민관정 2차 정책협의회도 열렸다.

재계는 당·정·청 주도의 이 같은 호출을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재계 고위 관계자는 14일 “정부와 민간이 한마음으로 이번 위기를 극복하자는 데는 100% 동감한다”면서도 “기업과 잘 안 만나던 정부가 이번 사태 이후 너무 자주 공개적인 회의에 부르는 것 같아 격세지감”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경제단체 관계자는 “전례 없는 경제전쟁인 만큼 정부와 소통하는 게 필요하지만, 보여주기식 자리가 많은 것 같아 (회의의) 효과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는 2017년 7월 정부 출범 후 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그룹 총수와 만난 이후 한동안 재계와 거리를 뒀다. 2017년 말에는 청와대 경제비서관이 ‘5대·8대 기업 등으로 기업을 줄세우기식으로 추려서 만나지는 않겠다’고 해 추진 중이던 기업인들과 회동을 취소한 적도 있다. 그러다 올해 초 문 대통령이 5대 기업 총수를 청와대에 초청하면서 소통이 재개된 모양새였다.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지난달 10일 청와대 본관 충무실에서 열린 경제계 주요인사 초청 간담회에 입장하며 최태원 SK 회장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 주도의 대책회의가 정부 방침을 기업에 하달하는 자리가 될 우려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5대 그룹 임원은 “이번 일본 수출규제 관련 대책회의에 가더라도 그 자리에서 적극적으로 우리 입장을 얘기하지 않는다”며 “정부 입장과 주문을 듣는 자리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영선 중기벤처부 장관은 13일 소재ㆍ부품ㆍ장비 국산화 대책을 발표하며 “연말까지 불화수소 국산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그동안 대기업들이 국내 중소기업 제품을 사줬더라면 일본 의존도가 낮았을 것이라며 대기업 역할을 강조해왔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일본산 소재나 부품을 국산으로 대체하겠다는 게 정책 목표가 되어선 안 된다”며 “국내 기업들이 국제 시장에서 비교우위를 가지는 제품을 생산하도록 정책을 짜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지난달 박영선 장관의 대기업 역할론에 대해 “(국산 불화수소의)품질이 문제”라며 국산화로 문제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재계에선 정부가 개별 기업과는 필요할 때 비공개 협의를 하고, 공식적으로는 민관정 정책협의회 같은 경제단체가 참여하는 채널을 통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한 대기업 고위 임원은 “고위 임원들이 나가는 회의보다도 실무진이 정부와 소통을 지속하고 긴급한 상황에 대처하는 게 효과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보여주기식 간담회보다 위기 극복에 필요한 법안 처리 등 정치권의 구체적인 조치를 더 기다리고 있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14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등 당 지도부와 가진 정책협의 간담회에서 “다음 달 열리는 20대 국회의 마지막 정기국회에서 기업들로서는 초조한 마음이 상당하다”며 “(벤처 활성화 법안을 비롯해)일본 수출규제 기업의 적기 대응을 위해서 부품 소재 관련 법안 처리에 힘써달라”고 말했다.

박수련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