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저성장·저금리·고령화 '2저1고 시대' 가계자산 운용 해법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송정훈 기자] [미래에셋은퇴연구소, 투자교육 총서 ‘넥스트 20년, 내 자산 어디에 둘까’ 발간]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일본 사례를 통해 가계자산 운용해법을 모색한 '넥스트 20년, 내 자산 어디에 둘까-일본의 과거 20년이 주는 교훈'을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1990년대 중반 일본은 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져들었다. 버블 붕괴의 트라우마와 고령화로 인해 가계의 상당 부분이 안전자산에 머물렀고 지속되는 저성장과 자산시장 침체 속에 일본 가계는 20년 동안 부를 증식하지 못했다.

일본은 지금도 가계 총자산 규모는 버블기 정점 수준과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도 2저(低) 1고(高)로 표현되는 저성장, 저금리, 고령화 시대에 직면했다.

총서는 2000년대 전후 일본의 버블 붕괴 이후 20년간의 투자 환경을 자산시장 관점에서 살펴 본다. 특히 일본 가계의 자산운용 과정에서 나타난 실패와 성공 요소를 바탕으로 가계 자산운용 핵심 원칙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총서는 국내 투자자들이 가계 자산구성의 변화를 시급히 시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본처럼 뚜렷한 디플레 함정에 빠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가계 자산구성의 변화를 모색하고 투자자산 비중 증가와 부동산 비중 축소를 통해 가계자산이 성장할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연금 준비와 금융투자를 통해 금융자산 비중을 확대하고 은퇴자산을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안정적인 인컴(이자)형 자산을 늘리고 해외투자와 글로벌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총서를 발간한 박영호 미래에셋대우 연금연구센터장은 “고령화, 저성장 사회에서 일본과 같은 시련을 겪지 않으려면 자산을 젊게 만들어야 한다”며 “부동산 보유비중을 줄이고 인컴형 자산, 글로벌 자산을 중심으로 금융투자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자산을 젊게 하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총서는 미래에셋은퇴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전자책 형태로 무료 배포한다.

송정훈 기자 repor@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