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발표 6월 고용동향
60세 이상 37만명 증가 역대 2위
3040은 21만 줄어, 21개월째 감소
급여 많은 제조·금융업 11만 줄어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19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40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1000명 증가했다. 15~64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고용률은 67.2%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1989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도 43.2%로 전년 동월보다 0.3%포인트 올랐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산업별로 보면 정부가 일자리 재정을 쏟아부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2만5000명)과 단기직 위주인 숙박 및 음식업(8만5000명)에서 취업자가 많이 늘었다. 임금을 받지 않고 가족 일손을 돕는 ‘무급(無給) 가족 종사자’가 많은 농림어업(2만3000명)에서도 37개월 연속 취업자가 늘었다. 그러나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6만6000명)과 금융 및 보험업(-5만1000명)은 줄었다. 제조업은 지난해 4월부터 15개월 연속 일자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사상 최장 감소 기록이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취업자가 37만2000명이나 증가하며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통계 작성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이다. 정부가 지난 2월부터 노인 일자리 사업을 집행하면서 60대를 중심으로 취업자가 많이 늘어난 덕분으로 분석된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한국 경제의 중심축인 30·40대의 고용 부진은 여전하다. 1년 전보다 각각 3만2000명, 18만2000명 줄었다. 같은 기간 인구수가 각각 9만5000명, 16만 명 줄어든 영향을 많이 받았다. 30·40대 취업자 수는 2017년 10월 이후 21개월째 동반 하락 중이다.
특히 지난달 주 17시간 미만 근로자 수는 1년 전보다 20만9000명 증가한 181만3000명을 기록했다. 1982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6월 기준으로 가장 많다. 전체 취업자 대비 초단시간 근로자 비율 또한 6.6%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정부가 단기 공공일자리 사업을 늘린 데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여파로 이른바 ‘쪼개기 고용’을 하는 사업주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점에서 고용시장이 본격적인 개선 추세로 돌아선 것은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실업관련 지표는 악화 추세다. 지난달 실업자는 113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3000명 증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99년 이후 6월 기준 역대 최대치다. 실업률(4%)도 6월 기준으로는 역시 1999년 이후 최고치다. 이에 따라 실업률은 2000년 이후 처음으로 6개월 연속 4%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청년층 실업률도 10.4%로 1년 전 같은 달 보다 1.4%포인트 올라갔다. 특히 취업 준비생을 포함한 체감실업률인 ‘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1.7%포인트 오른 24.6%로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용 양적인 측면은 개선되고 있지만, 질적으로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는 여전하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취업자 수를 늘리려고 정부 재정을 투입하니 비경제활동인구가 새롭게 고용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는데, 이것이 역설적으로 실업률은 더 높이는 효과를 내고 있다”며 “경제가 좋아져 민간 기업들이 채용을 늘리기보다는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공공·단기 일자리가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