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경기 전교조 "공립유치원내 교사들 관리자 갑질에 시달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단설 유치원 발령 기피…비민주적 분위기 탓"

(수원=연합뉴스) 이영주 기자 =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경기지부가 도내 공립유치원 관리자(원장 및 원감)들의 갑질 사례를 폭로하고, 경기도교육청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경기 전교조는 3일 오후 경기도의회에서 '경기도 공립유치원 원장·원감 갑질 폭로 기자회견'을 열고 "실태조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수직적인 조직구조 속에서 교권 침해와 관리자 갑질에 시달리며 교직 생활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며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교조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이어 "관리자 갑질로는 '하라면 해!', 초과 근무를 한다고? 너무 무능력한 거 아냐?!', '야! 너!' 등의 폭언과 인격 모독, 고성 등 부적절한 발언과 왕따 조장, 보복 행정 등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교사들의 합의가 필요한 돌봄 당직은 관리자들의 강요로 이뤄지고 있다. 교사들은 노동법에도 없는 10시간 근로시간을 종용당하면서도 초과근무수당조차 신청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러한 갑질 피해는 초등학교 교장이 유치원 원장을 겸하고 있는 병설 유치원보다 단독 건물로 설립된 단설 유치원이 더 많다고 강조했다.

경기 전교조가 도내 병설 및 단설 유치원 교사 5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인 94.5%가 '단설 유치원 발령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비민주적인 분위기(명령하달)'와 '근무시간 연장 등 교사 복무에 대한 무리한 요구', '부당 업무 지시', '인격 모독(언어모독, 반말사용)' 등을 꼽았다.

경기 전교조는 "평소 복무 및 방학 중 복무 만족도, 정시 퇴근 여부, 당직제 운영 여부 등 항목에서 단설 유치원 교사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라며 "응답자 중 단설 유치원 근무 경험이 있거나 근무 중인 교사 71%는 신규발령, 10.8%는 타·시도에서 전입 후 발령 등으로 자의적으로 지원해서 근무하는 교사는 20%에 불과하다"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공립유치원의 민주적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도 교육청이 ▲ 관리자 갑질을 근절할 근본 대책 마련 ▲ 교육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업무 정상화 방안 마련 ▲ 관리자 대상 교권 침해 예방 연수 강화 ▲ '유치원 전담 갑질 신고센터' 운영 ▲ 관리자 '갑질 이력제' 도입 및 공익제보자 보호 등 마련을 촉구했다.

young86@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