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위이잉’ 바닷바람 뚫고 수직상승…드론 항공장애등 점검 ‘3분 OK’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항공장애등 점검 드론 활용 현장

풍력발전기 상공 30m까지 접근

장애등 상태 영상 지상으로 전송

점검시간 기존 4분의 1로 줄여

장애등 627개 드론 점검 가능

환경감시 등 활용영역 갈수록 확대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일 인천시 서구 오류동의 아라인천여객터미널 주차장 앞마당. 풍차를 닮은 풍력발전기 2대를 배경으로 드론 한 대가 출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드론의 임무는 풍력발전기 꼭대기에 달린 항공장애표시등(이하 항공장애등)을 점검하는 일. 구조물 상단에서 반짝거리는 빛을 내며 항공기 충돌을 방지하는 항공장애등은 지상에서 60m 이상 솟아있는 구조물과 150m 이상 높이의 모든 건물에 달려있다. 전국에 설치된 항공장애등은 모두 9181개(올해 1월 기준)로 연 1회 이상 점검을 받아야 한다. 2017년 8월 세종시 한두리대로 주탑 상부에서 난 화재처럼 항공장애등에 먼지나 이물질이 끼면 불이 나기도 한다. 공중에 떠 있는 거나 마찬가지인 항공장애등 점검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점검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주변 건물이나 지형을 이용해 구조물에 최대한 접근해 디에스엘아르(DSLR) 카메라에 망원렌즈를 달아 사진을 찍는 방식으로 항공장애등 점검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6월부터는 항공장애등 점검에 시범사업 형태로 정확성과 효율을 높인 드론이 투입됐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륙부터 착륙까지 3분이면 끝

이날 아라뱃길엔 초속 3.4m의 바닷바람이 풍력발전기를 계속 돌리고 있었다. 머리카락이 날릴 정도였지만 초속 5m의 바람까지 견디는 드론의 비행에는 문제가 없었다. 조종간을 잡을 교통안전공단 항공안전처의 김홍재 연구원이 드론 프로펠러 6개를 정성스레 닦으며 조임 상태를 확인하고 이륙을 준비했다. 김 연구원 등 항공안전처 직원 5명은 지난해 드론 조종을 위해 3주의 기본교육과정을 이수하고 20시간의 시험비행을 거쳐 자격증을 땄다.

오후 2시27분, 풍력발전기가 잠시 가동을 멈추자 드론이 ‘위이잉’ 요란한 소리를 내며 70m 높이의 목표물을 향해 드디어 날아올랐다. 손톱만한 크기로 작아져 구름 속에 빨려 들어갈 것 같던 드론은 수직 상승을 멈추고 왼쪽에 있는 2호기로 접근했다. 드론이 구조물과 유지해야 할 안전거리는 30m. 접근비행이 완료되자 드론에 달린 카메라가 항공장애등을 살피기 시작했다. 카메라 렌즈의 방향을 조정하고 ‘줌인’을 하니, 풍력발전기 상단에서 번쩍거리는 항공장애등의 상태가 지상에 있는 태블릿피시 화면에 선명하게 떴다. 황병훈 항공안전처 수석위원이 드론이 보내온 화면을 통해 항공장애등의 점멸주기와 도색 상태 등이 양호함을 확인했다. 2호기 점검이 끝나자 드론은 약 200미터 정도 떨어진 1호기 곁으로 수평 이동했고 똑같은 작업을 반복했다. 임무를 마친 드론이 무사히 착륙한 시간은 오후 2시33분. 황 수석위원은 “드론을 이용하면 항공기 운전자의 시각으로 항공장애등을 효율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소요 시간도 기존 방식보다 4분의 1 수준”이라며 “올해 도입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드론에 달면 점검 정확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드론으로 모든 항공장애등을 들여다볼 순 없다. 사생활 침해 가능성 때문에 일반건물은 드론 점검의 대상에서 제외되며 이·착륙장 확보가 쉽지 않은 송전탑 항공장애등 점검도 만만찮다. 현재 드론 점검이 가능하다고 교통안전공단이 파악하고 있는 항공장애등의 숫자는 교량과 풍력발전기, 사업장·발전소 굴뚝 등에 달린 627개다. 이중 올해 검사목표 물량은 60개다. 교통안전공단은 송전탑 전수조사를 통해 점검 가능성을 검토한 뒤 드론 점검 물량을 더욱 늘려나갈 계획이다.

환경감시·차량단속 등 공공분야 활용 확대

드론은 자율주행차·수소경제·스마트시티 등 국토교통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혁신기술 중 하나로 공공 시설물 점검은 물론 환경감시, 교통관리, 지형정보 조사 등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다. 국토부는 올해 공공분야 드론 조종인력 양성 규모를 지난해 100여명에서 300명으로 크게 늘렸다. 양성 규모를 확정하기 전 국토부가 공공분야 교육수요를 조사한 결과 1000명을 넘었을 정도로 각 부처의 드론에 대한 관심도 커진 상태다. 지난해에는 소방·경찰·해경·국토조사에 한정됐던 공공분야 드론 수요는 올해 오염물질 감시, 법규 위반 차량단속, 소나무재선충 피해 예방·관찰, 병해충 방제 등 환경·교통·산림·농업 분야로 확대됐다.

드론 교육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센터도 확충된다. 경기도 시흥에 들어설 드론복합교육센터는 오는 10월 착공해 내년 4월 완공되며 매년 6천명에 가까운 드론 교관을 배출할 예정이다.

◎ 드론이 촬영한 풍력발전기 항공장애등 점검 동영상



인천/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동영상 교통안전공단 제공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좀 더 생생한 뉴스,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