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이주열 총재 "물가상승률 1% 밑돌 것..통화정책으론 한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물가상승률 연간으로도 0%대 가능성 높아

온라인 거래 확산으로 글로벌 전반 저물가 현상

물가와 경제 상관관계 약해져…“중앙은행에겐 큰 난관”

경제 성장 불확실성 커져…통화정책 적절히 대응

이데일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점에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한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글로벌 경제의 통합과 기술진보 등으로 물가상승률이 구조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앙은행으로서는 통화정책으로서 제어하기 어려운 영역이 더 확대되는 것인 만큼 큰 고민이 아닐 수 없다.”

일반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와 달리 0%대 물가수준이 장기화하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들은 ‘저(低)물가’ 현상으로 인한 경기둔화 우려에 고민이 깊다. 한국은행 역시 마찬가지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점에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말했다.

경제가 저물가가 고착화하는 구조로 바뀌면서 경기와 물가 간의 상관관계가 낮아지는 추세다. 기준금리를 내리거나 올려 시중 유동성을 조절함으로써 물가 수준을 너무 낮지도 높지도 않게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게 중앙은행에게 주어진 주요 책무라는 점에서 과거와 달라진 물가상황을 반영해 역할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특히 물가가 한은 목표치인 2%를 크게 밑도는 현 상황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임금상승률에도 영향을 미쳐 경기 활력을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물가가 지나치게 낮게 유지되는 것도 큰 문제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은 글로벌 주요국 대비 유독 낮다.

지난 1~5월중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0.6%로 지난해 하반기 1.7%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한은의 물가안정목표(2.0%)를 크게 하회한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장기 저성장 국면에 놓인 일본(0.5%)과 불과 0.1%포인트 차다. 가격 변동성이 큰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도 이 기간 0.8%에 그쳤다.

연간으로도 0%대로 주저앉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 총재는 “올해 중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지난 4월 전망(1.1%)을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1%를 밑도는 낮은 흐름 지속할 것”이고 말했다.

물가상승률이 0%대를 기록했던 것은 외환위기로 국가 경제가 침몰 직전까지 내몰렸던 1999년(0.8%)와 유가 폭락 여파로 물가상승률이 0.7%를 기록했던 2015년 두 해 뿐이다.

낮은 인플레이션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게도 도전과제다. 낮은 물가는 미국 연준이 금리를 내리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꼽힌다. 연준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을 기존 1.8%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2%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 총재 역시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하고 반도체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될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는 만큼 거시안정과 물가안정을 두루 살펴가며 적절히 통화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했다.

다만 한은은 이같은 저물가가 경제 위기나 디플레이션(마이너스 물가상승률) 상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최근 저인플레이션은 일부 품목에서 나타난 가격 하락에 따른 것으로 전방위적인 가격 하락 현상이 나타나는 디플레이션 현상과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저물가는 복지정책 강화로 인한 의료비 감소 등 정책적 요인도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친 만큼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이주열 총재는 물가상승률 둔화에 대해 “단기변경요인으로 상당 부분 설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수출과 투자가 둔화하면서 나타난 수요측면 둔화 현상도 물론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유가 하락 및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 복지 정책에 따른 하방 요인이 컸다는 설명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