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취업연령인구 ‘맞벌이’ 절반 넘겨…자영업자 가구서 특히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발표

2018년 하반기 맞벌이 가구 567만5천 가구로 집계

생산연령인구(15~64살) 가구주, 맞벌이 비중 51.3%

맞벌이 취업시간 전년보다 여성 1.3시간, 남성 1.5시간↓

취업자 1인 가구는 353만7천 가구로 전년 대비 3.1%↑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가구주가 생산연령인구(15~64살)인 유배우 가구 가운데 맞벌이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자영업자 가구의 맞벌이 비중이 늘어난 탓으로 풀이된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2018년 하반기)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전국 1224만5천 가구로 이 가운데 맞벌이는 567만5천 가구로 집계됐다. 맞벌이 가구는 전년 대비 21만9천 가구 증가해 전체 유배우 가구의 46.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7%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특히 가구주 연령이 생산연령인구에 해당하는 가구 가운데 맞벌이 비중은 전년보다 2.0%포인트 증가한 51.3%로 역대 처음으로 절반을 넘겼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경력단절 여성 지원 등 정책 효과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점 높아지는 동시에 자영업 비중이 높은 산업에서 맞벌이가 늘어난 효과가 함께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구주가 종사하는 직업별로 살펴보면, 자영업 가구의 맞벌이 비중 증가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가구주가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경우 맞벌이 비중은 83.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도소매·숙박음식점업(62.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56.8%), 광·제조업(52.2%) 순이었다. 특히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은 전년에 비해 맞벌이 가구 비중 3.3%포인트 늘어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가구주가 경영하는 사업체나 농장 등에서 일손을 돕는 무급가족종사자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하반기 가구주가 비임금근로자인 경우 배우자도 마찬가지 비임금근로자인 경우는 23만9천 가구(11.8%)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부부가 자영업을 운영하는 맞벌이인 셈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가구주가 40~49살인 가구의 맞벌이 비중이 54.2%로 가장 높았고, 이어 50~64살인 가구 50.5%, 30~39살 가구 49.9% 순이었다. 사교육비, 노후준비 등 생애주기상 가구의 소득이 집중돼야 할 시기에 맞벌이 비중이 높은 셈이다. 또 연령대별 맞벌이 비중은 자녀의 교육 정도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자녀가 있는 가구의 맞벌이 비중은 44.5%에 불과했지만, 자녀가 초등학교에 재학할 경우 54.0%로, 중학교 재학은 60.3%, 고등 이상 재학은 60.8%로 점점 늘었다.

주 52시간제 시행 등 영향으로 맞벌이 부부의 취업시간은 모두 줄었다. 남성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4.8시간, 여성은 39.0시간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1.5시간, 1.3시간 줄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전체 1인 가구는 578만8천 가구로 이 가운데 취업자인 1인 가구는 10만6천 가구 증가한 353만7천 가구(61.1%)로 나타났다. 남성 취업자가 204만1천 가구, 여성이 149만6천 가구로, 남성 1인 가구의 비중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50~64살의 취업자 1인 가구가 9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39살 81만5천 가구, 40~49살 72만8천 가구 순이었다. 그러나 전년 대비 증감률만 놓고 보면 65살 이상 고령층 1인 가구 가운데 취업자가 3만6천명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10.3%)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노후준비가 부족한 고령 1인 가구가 일손을 놓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데다, 정부가 노인 일자리 사업을 강화한 점 등이 함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1인 가구의 소득 수준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 비중도 함께 늘었다. 임금근로자인 1인 가구 가운데 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31만5천 가구(11.3%)로 전년에 비해 2만 가구(0.3%포인트) 늘었다. 반면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 비중은 4.6%포인트 줄었고, 200만~300만원 미만인 가구가 2.4%포인트, 300만원 이상인 가구는 2.0%포인트 늘었다. 전체 1인 가구의 소득 수준이 나아진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임금인 노인 일자리 등에 참여한 고령층 1인 가구들이 저소득층에 자리 잡은 현상으로 보인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네이버 메인에서 한겨레 보기]
[▶한겨레 정기구독] [▶좀 더 생생한 뉴스,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